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제주도와 데지마로 가는 길

조회 14,512

관리자 2013-03-25 09:41

작가리드비엔 판데펜
본전시


제주도와 데지마로 가는 길

리드비엔 판데펜의 최근 작품은 과거 네덜란드의 글로벌 역사의 초기 단계를 지칭하는 또 다른 이름, 소위 “황금시대”라 불리우는 17세기와 관련한다. 이 글로벌 역사의 초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네덜란드의 이전 식민지들과 교역 관계들이다. “배움의 정원”을 위한 첫 연구에서 판데펜은 우선, 실험적으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네덜란드인 직원이었던 헨드릭 하멜의 자취를 뒤따라갔다. 하멜은 1653년 제주도에서 난파당해 구금된 바 있다. 조선의 쇄국정책으로 인해 하멜과 다른 선원들은 조선을 떠나지 못했다. 13년 후 하멜은 마침내 일본으로 탈출할 수 있었고, 1666년 조선에 대한 자신의 직접적인 경험을 책으로 썼다.
제주도에 도착했을 때, 판데펜은 미국 해군기지와 연관된 시끄러운 갈등에 연루되었다. 현장에서 판데펜의 사진은 활동가들과 건설인부들 사이에 벌어진 여러 장면들과 상호 활동들, 극적이면서도 기본적으로는 평화적인 소통, 가톨릭 신부들의 항의 미사 등을 담았다. 하멜의 국한된 관점—외국은 이상한 곳이라는 —과 크게 다를 바 없이, 판데펜의 카메라는 부지런히 이런 시나리오 내에서 문화적 특수성을 기록했다. 제주도에서 찍은 14점의 사진들은 판데펜의 전시장의 두번째 파트를 차지하는데, 첫번째 파트에서는 바다여행의 신비와 교역 관계의 고고학을 다룬다. 이 공간을 주도하는 것은 구름 낀 하늘과 오른 쪽에 언덕이 있는 거대한 잿빛 바다풍경이다. 낮은 수평선의 이 이미지는 형식상으로는 17세기 네덜란드 회화의 전통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작은 배, 해안가 마을과 같은) 인간의 존재에 대한 암시가 전혀 없고, 따라서 세월이 흘러도 변치 않을 것처럼 보인다. 바다 풍광에 응답하듯이, 반대쪽 벽에서는 데지마에 있는 오랜 유적지가 보인다. 나가사키만에 있는 이 인공섬은 1634년에 만들어 졌다. 이제 이 섬은 예전의 모습을 회복했다. 이곳은 과거 일본과 서양 사이의 유일한 교류지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