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12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본전시

  • 주제‘배움의 정원(Garden of Learning)
  • 기간2012. 9. 22∼11. 24(64일간)
  • 장소부산시립미술관, 좌천아파트
  • 구성전시, 교육프로그램
  • 전시감독로저 M. Buergel(독일)
  • 출품작가·작품19개국 41명(팀) 200점
  • 어드바이저

    길예경(서울), 박만우(서울), 성완경(서울), Allan Sekula(로스앤젤레스), Ruth Noack(베를린/런던), 장 칭(베이징), 에리코 키무라(요코하마), Damian Christinger(취리히), Nico de Oliveira(런던), 김희진(서울), 신지 코모토(교토), Ulrich Schottker(함부르그), 이현민(부산), 김인선(서울), 김형걸(서울), 최윤식(부산)

  • 배움위원회

    강민경, 강지현, 권민주, 권하경, 길혜진, 김경진, 김나영, 김나울, 김다영, 김동희, 김민정, 김민지, 김성현, 김성희, 김송이, 김연희, 김정미, 김지호, 김지홍, 김진해, 김태정, 김형걸, 김혜원, 김혜인, 김혜진, 문소현, 문혜진, 박근수, 박문수, 박사영, 박세희, 박시원, 박우경, 박은숙, 박희인, 서정원, 석우람, 설다혜, 성은아, 손송이, 손태권, 손효정, 신선혜, 신윤예, 신현덕, 양소연, 양지희, 어혜정, 오용택, 우석봉, 유지미, 윤지영, 이가희, 이동주, 이보영, 이순금, 이원경, 이은경, 이혜미, 장동현, 장지원, 전지훈, 전찬영, 전효경, 정숙현, 조상철, 조승현, 조은비, 진슬기, 채규현, 채승희, 최상민, 최수지, 최영미, 최영은, 한나경, 한소정, 한지나, 한태호, 홍성재, 홍진아, 황정희, Dita Wulandari Utomo, Timothy Curchod

특별전

  • 기간2012. 9. 22∼11. 24(64일간)
  • 장소부산문화회관, 부산진역사, 광안리 미월드
  • 규모5개국 72명 204점
  • 큐레이터김아람, 김용민, 김정은, 백아영, 송지민, 이훈석, 최지영, 함선재, 허나영
  • 자문위원류병학

구성

부산진 역사
본전시 구성의 부산진 역사의 전시명,기획자,주요내용에 관한 정보제공
전시명 기획자 주요내용
신화적 우화-장소에 대한 진실 혹은 허구 김아람 현재 의미와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장소의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 제안
인식의 우리 이훈석 러시아에 대한 고정관념을 시각화하여 이에 대한 새로운 성찰 시도
Mobile Museum 최지영 부산진역을 문화소통의 공간으로 부활시키고자 희망하는 프로젝트
부산문화회관
본전시 구성의 부산문화회관의 전시명,기획자,주요내용에 관한 정보제공
전시명 기획자 주요내용
아르누보 숲에서 김용민 미술과 영화가 만나는 공간 속에 작가와 관객들이 자연스럽게 참여 하는 전시 제안
버킷리스트 김정은 2000여명의 증언을 통해 인생에서 후회하는 일은 행하지 않은 일이라는 메시지 전달
두 개의 문 백아영 개인의 시선에 의해 재해석된 일상적 장소를 시각화하여 새로운 의미부여
정물을 위한 정물사진展
세 개의 카메라로 부산을 묘사하다­
송지민 타지인의 시각으로 부산의 풍경을 사진 매체로 분석 및 묘사
사라진 탐정-탐정을 탐정하다 허나영 일상 속에서 탐정화 되어가는 현실을 재발견하며 탐정을 통해 현대미술의 다양한 표현 형태를 제시
광안리미월드
본전시 구성의 광안리미월드의 전시명,기획자,주요내용에 관한 정보제공
전시명 기획자 주요내용
Passage(통로)
- 이 시대의 독창적 걸음 -
함선재 배움의 과정으로서 창작활동의 결과물을 통해 람객과의 소통 통로를 마련
갤러리 페스티발 : 2012. 9월 22일~10월 6일(46일간), 19개소 64명(팀) 409작품
본전시 구성의 갤러리 페스티발의 갤러리, 전시기간, 전시명, 출품작가/작품수에 관한 정보제공
갤러리 전시기간 전시명 출품작가/작품수
갤러리이배 9. 13∼10. 14 당신의 위로와 위안 변대용/9점
갤러리화인 9. 22∼10. 6 봉생문화상 수상자 기획 초대전 김경남, 김남진, 김덕길, 김창언, 김춘자, 민병일, 박인관, 서상환, 최민식, 이민한, 정혜련, 허경무 / 약 24점
갤러리마레 9. 22∼10. 6 배움의 정원 이건희, 개비베르글룬드 까르데나스, 홍민호 / 20점
루쏘갤러리 9. 22∼10. 6 현대여류작가 3인 모색전 김미숙, 이혜영, 허미경 / 30점
소울아트 스페이스 9. 22∼10. 6 Reading 이미경, 김소희, 양태숙 / 약 20점
갤러리 새김터 9. 22∼10. 6 배움의 정원 - 디자인 욕구展 김정배, 김영삼, 김종대, 이명희 / 약 10점
갤러리 블루홀 9. 22∼10. 6 2012 다양성과 통일성展
정영진, 오영민, 박옥남, 신홍직 / 36점
남산화랑 9. 22∼11. 22 배움의 美學전 오순환, 안창홍 / 20점
갤러리 몽마르트르 9. 22∼10. 6
김형률 초대전 김형률 / 20점 이상
산목미술관 9. 22∼10. 6 동행(同行) - 세 개의 시선 류소연, 도모히라이, 아디티 차크라보티 / 약 20점
갤러리 폼 9. 21~10. 21 만들어진 기억 장소 박자용 / 30점
바나나롱갤러리 9. 22∼10. 6 나는 당신을 봅니다 라라, 이소을, 이홍석 / 15점
가양갤러리 9. 22∼10. 6 상상 놀이터 다발킴 / 약 35점
부산아트센터 9. 22∼10. 14 위대한 유산 오승윤, 오수경, 오병재 / 약 30점
스페이스하버 H 9. 22∼10. 6 學而時習之不亦悅乎
배우고 때로 익히니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김도형, 권혁, 박주현, 신명환, 안현숙, 쁘리아김 / 약 24점
미부아트센터 9. 22∼10. 6 과 정 전 김도플, 김민정, 강준석, 강희란, 류주영, 배남주, 우징, 신대준, 성헤경 / 약 20점
맥화랑 9. 21~10. 4 Interaction 공보라, 이경원, 이슬희 / 25점
갤러리 봄 9. 22∼10. 6 TV에 제가 나와요 장선호 / 1점
도시갤러리 9. 20∼10. 10 정원속의 정원 고명근, 이재효, 민병헌 / 20점

비엔날레 어반 스퀘어 Biennale Urban Square

Talk on Biennale

패널디스커션
  • 주제2012 부산비엔날레 전시기획 방법론
  • 일시2012. 9. 24, 10:00-12:00
  • 장소부산시립미술관 강당
  • 참가자 안원현(신라대 교수), 로저 M. 뷔르겔(2012부산비엔날레 전시감독), 루스 노악(독립큐레이터), 데이비드 조슬릿(예일대 교수), 김홍희(서울시립미술관장), 최태만(국민대 교수), 성효숙(참여작가), 이모진 스티드월시(참여작가)
아티스트 온 토크
  • 일시 2012. 9. 24, 14:00-17:00
  • 장소부산시립미술관 강당
  • 참가자메리 엘렌 캐롤, 벤 카인, 김용익, 이인미(2012부산비엔날레 참여작가)
큐레이터 토크
  • 일시2012. 10. 6, 14:00-20:00
  • 구성1부/부산시립미술관 강당, 14:00-17:00
    2부/특별전 전시장 투어 및 파티, 17:00-20:00
  • 참가자김아람, 김용민, 김정은, 백아영, 송지민, 이훈석, 최지영, 함선재, 허나영(특별전 큐레이터)
아시아비엔날레 포럼
  • 주제‘아시아 비엔날레 최근 흐름과 협력방안 모색'
  • 일시2012. 10. 13, 14:00-17:00
  • 구성부산시립미술관 강당
  • 참가자이두식(부산비엔날레 운영위원장), 장칭(상하이비엔날레 운영위원장),아키 호아시(요코하마 트리엔날레 사무국장), 심 원 후이(싱가폴 미술관 부관장)
아트에듀케이터 토크
  • 일시2012. 10. 20, 14:00-16:00
  • 장소부산시립미술관 강당
  • 내용교육프로그램 진행과정 소개 및 질의응답
  • 참가자김유겸, 김지선, 김지은, 김지호, 김태인, 박은숙, 손송이, 양지연, 이취원, 정연은(2012부산비엔날레 에듀케이터)

Play with Biennale

어반갤러리
아카이브 큐브
  • 일시2012. 9. 22 - 11. 24, 10:00-18:00
  • 장소부산시립미술관 야외공원
  • 참가단체

    Woofer-Ten(홍콩), RUANGRUPA(인도네시아), Seoul Urban Art Project(서울), Lost Generation Arts Space(말레이시아), Community Space LITMUS(경기도), POST MUSEUM(싱가폴), IRREGULAR RHYTHM ASYLUM(일본), Boan art Space 통이동 보안연관(한국), Zero Station(베트남)

비엔날레 피크닉
  • 일시2012. 9. 23 - 11. 18(매주 일요일), 10:00-17:00
  • 장소부산시립미술관 야외공원
  • 공연어쿠스틱 밴드 및 퍼포먼스 공연 등, 14:00-15:00(돗자리 무료대여)
어반 아트 프로젝트
오프닝 애프터 파티
  • 일시2012. 9. 22, 18:00-22:00
  • 장소광안리 해수욕장 만남의 광장
  • 공연DJ SOOLEE(서울), J-U, DJ DOLS(부산)
온-스트리트 프로젝트
  • 장소부산진역사 내
  • 참여작가구헌주, 김영탁, 공진옥
  • 내용

    * 아카이브 전시(2012. 9. 22 - 11. 24, 10:00-18:00)
    프로그램 진행 과정 및 작업 내용 기록 전시
    * 관객체험 스트리트 아트 워크숍(1차 : 2012. 10. 13, 2차 : 11. 03)
    작가와 시민이 함께 스트리트 아트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고 다양한 작업 기법에 대한 설명 및 체험(티셔츠 및 가방 제작 등)
    * On-Street Gathering(2012. 10. 6, 18:00-21:00)
    일반인, 워크샵 참여자들이 함께 페인팅, 실크스크린 체험 및 DJ아티스트들과 함께 어우러지는 파티(DJ KIMPRO, DJ INY)

텐트포럼

참가시민 및 단체가 직접 텐트를 준비하여 설치하고 각자의 활동을 소개하거나 관심사를 나누고 교류하는 소통형 문화 프로그램

  • 일시2012. 10. 20, 14:00-22:00
  • 장소광안리 만남의 광장 주변
  • 참가대상일반인, 지역문화·사회단체, 아티스트, 동호회 등

교육프로그램

디지털투어

관객과의 소통을 온라인으로 확대하고자 만들어진 웹, 모바일 전용 페이지다. 전시장 내에 마련된 미디어 부스 또는 스마트 폰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관람객 스스로 수집하여 자유로운 관람을 계획할 수 있다.

디지털투어 바로가기

교육자료

교사 또는 학부모들이 수업 또는 전시관람 전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령별 눈높이에 맞추어 다양한 주제로 개발된 자료는 디지털 투어 웹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강연

전시감독이 직접 제안한 현대미술과 관련된 다양하고 흥 미로운 주제에 대해 자유로운 토론 형식의 강연을 개최한다.

  • 기간2012. 9 - 11월
  • 운영부산지역 대학, 단체 등

참여프로그램

  • 기간2012. 9. 22 - 11. 24
  • 운영에듀케이터와 배움위원
  • 장소부산시립미술관

세부내용

  • 대화프로그램주입식 형태의 작품설명이 아닌 관람객들과 자유롭게 토론하며 작품에 대해 함께 이해를 해나가는 프로그램
  • 학생프로그램연령별 학생들을 위한 창의적인 프로그램
  • 초대프로그램현대미술에서 소외된 다양한 커뮤니티를 직접 초청하여 함께 전시를 감상하는 프로그램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