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오토봉 엥캉가

조회 5,137

관리자 2022-12-16 11:57

작가오토봉 엥캉가
〈나즈막한 봉헌〉, 2022, 퍼포먼스, 나무, 식물, 흙, 씨앗, 끈, 기름, 물, 향, 가변크기.
 일정 및 퍼포머: 9. 2. (금) 오후 2시, 오토봉 엥캉가, 임은주 / 9. 3. (토) 오후 2시, 오토봉 엥캉가,최태석 / 9. 10. (토), 10. 8. (토), 10. 22. (토), 10. 29. (토), 11. 5. (토) 오후5시 30분, 임은주, 최태석
〈그슬린〉, 2022, 금속, 흙, 60×40×4cm (2).
〈부드러운 돌, 부드러운 침대〉, 2021, 수작업으로 염색한 양모, 무라노 유리, 수작업한 밧줄, 140×145×14cm, 작가 및 니콜레타 피오루치 컬렉션 제공. 
〈먼 곳에서 흔적을 남기다〉, 2021, 수작업으로 염색한 양모, 무라노 유리, 나무, 수작업한 밧줄, 점토, 기름, 허브, 290×230×30cm.
  
오토봉 엥캉가는 땅과 물의 역사를 추적하는 설치 작업을 한다. 작가는 환경 오염과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설득력 있는 질문을 제기하고 치유를 위한 시스템과 구조를 만드는  힘쓰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광물의 형태에서 영감을 받아 불규칙한 모양으로 만든 카펫을 소개한다. 부드러운 , 부드러운 침대  곳에서 흔적을 남기다 기다란 끈을 통해 공간을 뻗어 나가며, 유리, 나무, 테라코타  여러 조각물들을 연결한다. 허브, 향료,   자연 재료로 구성된  조각의 요소들은 감각적이고 유기적인 형태를   서로 떨어진 지점들 사이를 통과하고 연결한다. 흙을 굳혀 만든  그슬린 함께, 이번 전시를 위해 제작한 신작 나즈막한 봉헌 3미터 길이의 원목을 깎아 만든 조각이자 퍼포먼스의 도구이다.  작품을 활용해  퍼포머가 서로의 몸을 균형점 삼아 함께 움직이며 대지와 인간의 상호 연결을 드러낸다.
 
오토봉 엥캉가

1974 나이지리아 카노 출생
벨기에 앤트워프 거주

오토봉 엥캉가는 드로잉, 사진, 설치, 비디오, 퍼포먼스, 문학  폭넓은 영역에서 땅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인간과 , 생명으로부터 파생되는 관계와 갈등을 풀어 나간다. 인간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 자연으로부터 다양한 광물과 자원을 채집하고 활용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자연을 지배 구조에 종속시켜 상호 관계성을 이탈하게 된다. 작가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생태와 환경 문제를 흙과 광물, 기름, 식물과 같은 물질을 통해 표현하며  속에 담긴 소유의 욕망, 착취와 고갈, 식민주의 등을 꼬집는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Togethering》( 시튀 파비엔 르클레크, 파리, 2022), Otobong Nkanga. Of Cords Curling around Mountains》(카스텔로  리볼리 현대미술관, 토리노, 2021) 있으며, 주요 단체전으로는 58 베니스 비엔날레(2019), 14 샤르자 비엔날레(2019)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