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오석근

조회 5,077

관리자 2022-12-16 11:55

작가오석근
〈부산(釜山) 01〉, 2022, 디지털 C-프린트, 115×144×5cm. ‘적산’(敵 産) 시리즈 중.
〈부산(釜山) 02〉, 2022, 디지털 C-프린트, 84×70×4cm. ‘적산’(敵産) 시리즈 중.
〈부산(釜山) 03〉, 2022, 디지털 C-프린트, 84×70×4cm. ‘적산’(敵産) 시리즈 중.
〈부산(釜山) 04〉, 2022, 디지털 C-프린트, 84×70×4cm. ‘적산’(敵産) 시리즈 중.
〈부산(釜山) 06〉, 2022, 디지털 C-프린트, 84×70×4cm. ‘적산’(敵産) 시리즈 중.
〈부산(釜山) 07〉, 2022, 디지털 C-프린트, 115×144×5cm. ‘적산’(敵 産) 시리즈 중.
〈부산(釜山) 10〉, 2022, 디지털 C-프린트, 84×70×4cm. ‘적산’(敵産) 시리즈 중.
〈인천(仁川) 71〉, 2021, 디지털 C-프린트, 115×144×5cm. ‘적산’(敵 産) 시리즈 중.
〈인천(仁川) 72〉, 2021, 디지털 C-프린트, 84×70×4cm. ‘적산’(敵産) 시리즈 중.
 
오석근은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인천을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사와 얽힌 개인의 기억을 찾아 사진으로 이를 기록해 왔다. 특히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조선에 , 어떤 형태의 주택을 지었고, 해방 이후 사람들이 미군정과 이승만 정권으로부터 적산가옥(敵産家屋: 적의 재산,  일본인이 소유했던 가옥) 불하(拂下: 개인에게 팔아 넘김)받아 어떻게 변용해 사용하며 오늘에 이르렀는지  과정을 연구해 왔다. 이는 한국의 근현대사  개항 도시 부산과 인천의 역사 그리고 우리의 생활 문화사가 품은 시간의 층층을 담아 내는 것으로 부산에서는 특히 대저, 가덕도, 개항장 일대에 남은 적산가옥을 살핀다. 적산가옥은 표면적으로는 이념과 정치 언어로 호명되지만, 일본인이 만든  뼈대 속은 한국인들의 행위와 문화의 결로 가득하다. 적산가옥의 탄생과 표면, 내면을 뜯어보며 우리는 ‘집이라는 대상이 과연 민족과 국가를 상징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적산가옥을 연구하는 것은 우리 자신은 물론, 민족이라는 단위체와  아래 단단하게 구축된 역사문화의 중층을 섬세하게 기술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작가는 이를 통해 어떤 대상을 단순히 역사화함으로써 이를 삭제하거나 박제하는 대신 시간과 행위가 끊임없이 축적된 퇴적물로서 현재를 드러내고자 한다.
 
오석근

1979 한국 인천 출생
인천 거주

오석근은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인천을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사와 얽힌 개인의 기억을 찾아 사진으로 재현하고 기록한다. 그는 적산가옥이라고 불리는 일본식 가옥의 ·외부 변화상, 식민지, 근대화, 산업화 그리고 한국전쟁이 만들어  시간과 기억의 층위를 렌즈로 탐험하고 이를 엮어 대항 기억을 쓴다. 주요 개인전으로 인천(仁川)》(인천도시역사관·스페이스 , 인천, 2019), 해에게서 소년에게+재와 먼지》(서울시 종로구 연지동 179+180, 서울, 2012), 교과서(철수와 영희)》(베이스 갤러리, 도쿄, 2011) 있으며, 주요 단체전으로 적산가옥》(부연, 인천, 2021), 레슨 제로》(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7) 7 리버풀 비엔날레의 국제도시관 프로그램 전시로 열린 Terra Galaxia》(201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