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 변이

조회 15,321

관리자 2018-08-20 20:16

작가노메다 & 게디미나스 우르보나스
<변이>, 동기화된 멀티채널 비디오 설치, HDPE 파이프, 2018, 작가 제공, 2018부산비엔날레 커미션

노메다 & 게디미나스 우르보나스
변이

이번 비엔날레에서 두 작가는 2002년 작품 〈거래〉에 처음 도입했던 사회심리적 방법론을 다시 차용한다. 당시 두 작가는 미디어를 통해 성(性) 개념이 어떻게 생성되는지, 이렇게 만들어진 성 개념이 국가적 정체성에 어떤 식으로 연관되는지, 또 그 과정이 어떻게 식민주의적 방법론과 닮아 있는지 등에 관해 고찰했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 〈변이(變異)〉(2018)는 일종의 미디어 장치로 고안되었다. 이 장치는 이중 첩자의 정신 세계를 펼쳐 보이는데, 이는 마인드 컨트롤 같은 유사 과학적 활동, 행성 프로그래밍 등을 아우른다. 이 설치 작품은 다층적이면서 연상하기 쉬운 시각적 서사 구조로 짜여 있는데, 발트해 연안 국가 출신 남자들이 스파이나 외국인 역할을 맡아 연기했던 옛 소련의 컬트 영화 부분부분을 콜라주한 형식이다. 여기에는 무중력 공간에서 식물을 기르는 기술에 대한 기밀 연구 관련 이미지도 포함되는데, 이는 소련과 미국이 인간과 해조류의 공생 관계에 관해 실험한 ‘호모 에플루비엔’ 프로젝트와도 얽혀있다. 이는 마치 레트로 미래풍의, 동굴 같은 구조물 안에 설치된 모니터에서 상영되는 영상은 이중적 행위, 일종의 ‘파르마콘(Pharmakon)’ 같은 상황을 보여준다. 이 작품의 정신분석적인 성격은 동굴 형상의 조각작품에 드러나는데, 이는 건축적 환경을 통해 정신적 내면이 표출되는 것을 은유한다. 다시 말해 개별적인 정신보다 더 광범위한 대중 심리에 관해 언급하고 있는 듯하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