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그레이스 슈빈트

조회 2,508

관리자 2022-12-16 11:27

작가그레이스 슈빈트
〈목격자들( 뼈, 잎, 그리고 다른 생명체)〉, 2022.
〈목격자들〉, 2022, 천에 자수, 230×350cm. 자수: 손정민.
〈잎들과 상완골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56×26×18cm.
〈부서진 드레스 그리고 파편들〉,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19×13×6cm.
〈잎들과 견갑골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14×30×36cm.
〈누워있는 잎사귀 그리고 파편들〉,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24×18×11cm, 가변크기.
〈잎들과 정강이뼈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 42×32×32cm. 116쪽 아래
〈부서진 잎의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42×20×21cm.
〈두 부분으로 나뉜 깨어진 등〉,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16.7×6×2.7cm, 19.5×6×4cm.
〈잎들과 견갑골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14×30×36cm.
〈떠있는 잎사귀 그리고 파편들〉,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19×13×10cm, 가변크기.
〈부서진 가장자리 그리고 파편들〉,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10×14×7cm, 가변크기.
〈잎들과 두개골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24×30×26cm.
〈잎들과 장골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22×27×26cm.
〈잎들과 전골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20×32×46cm.
〈부서진 잎들의 형상 그리고 파편들〉,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29×14×14cm, 가변크기.
〈잎들과 정강이뼈와 대퇴골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50×31×20cm.
〈잎들과 누워있는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10×51×19cm.
〈잎들과 갈비뼈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12×35×32cm.
〈부서진 잎 그리고 파편들〉,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14×29×24cm, 가변크기.
〈잎들과 척골 그리고 형상〉, 2022, 라쿠 유약 작업한 도자기, 45×20×15cm, 가변크기.
 
그레이스 슈빈트는 어떻게 사회, 정치적 구조가 우리의 삶과 기억 방식은 물론, 우리가 느끼고 만지고 생각하는 모든 것들의 일부를 구성하는지 탐구한다. 조각, 드로잉, 퍼포먼스, 음악, 텍스트 등 회화적이고 추상적인 그의 작품 형태들은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뻔한 방식으로 기능하지 않는다. 조각은 종종 상처나 아픔을 드러내지만, 오히려 강하고 침착해 보인다. 그들 중 대다수가 경직된 구조로부터 더 유동적이고 추상적인 모양으로 변화해 나간다. 회화적인 것으로부터 추상적인 것으로 향하는, 혹은 추상적인 것으로부터 회화적인 것으로 향하는 상태에 놓이는 것이다. 작가는 개인의 경험에 기반한 과거의 트라우마에 대해 이야기하며, 트라우마가 각각의 신체를 통해 전달되는 방식들을 다룸으로써 개인의 트라우마 역시 사회의 일부임을 드러낸다. 슈빈트의 작업은 비선형적, 반()이분법적, 비계층적인 방식으로 연약함, 트라우마, 상처, 강함, 그리고 사랑과 관심 사이의 균형을 시도한다.
 
그레이스 슈빈트

1979 독일 오펜바흐 출생
영국 런던 거주

그레이스 슈빈트는 자본주의 문화가 개인의 몸과 정신에 끼치는 영향에 주목하며 이를 탐구하는 방식으로서 영상, 퍼포먼스, 조각, 드로잉 작업을 선보인다. 그의 작업은 종종 특정 사건이나 리서치, 혹은 활동가부터 예술가, 음악가, 정치가, 난민에 이르는 다양한 사람들과 나눈 대화에서 비롯한다. Five Surfaces All White》(센터  컨템포러리 아트, 글래스고, 2019), Silent Dance》(제노 X 갤러리, 안트베르펜, 2018) 등의 개인전을 개최했고, Refugee: Forced to Flee》(임페리얼 전쟁박물관, 런던, 2020), 1 안런 비엔날레(2017), 14 이스탄불 비엔날레(2014) 등에 참여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