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감민경

조회 2,623

관리자 2022-12-16 11:26

작가감민경
〈동숙의 노래〉, 2022, 캔버스에 목탄, 193.9×259.1cm.
〈0시의 땅〉, 2022, 종이에 목탄, 220×150cm (12).
〈파도〉, 2022, 종이에 수채, 캔버스천에 목탄, 242×150cm (2).
 
부산에서 태어나 성인이  때까지 부산을 벗어나  적이 없었던 작가는 현재 다른 도시와 나라를 오가며 작업하고 있다. 하지만 그가 부산에서 경험한 장면들은 사라지지 않는 인장처럼 그림의 배경에 스며 있다. 작가의 신작  점은 본격적으로  부산에서의 기억을 토대로 한다. 어릴  들었던 노랫가락, 사실인  허구인  꿈처럼 교차하는 삶의 풍경,  시절을 함께 겪었던 누군가의 모습을 담아 마음속에 오랫동안 품어 왔던 부산에 대한 아련한 향수를 그린다. 동숙의 노래 작가의 어머니가 살았던 시대의 여인상을 ‘동숙으로 설정하여 당시의 어려웠던 시대적 상황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동숙의 노래(1966) 부산 출신의 가수 문주란의 데뷔  제목이자  노래에 영감을 받은 작가 김세인의 소설집 제목이기도 하다. 0시의  파도 가난과 역경, 사랑과 이별, 희망과 절망, 삶과 죽음 등이 공존했던 어떤 장소에 대한 작업이다. 어릴  살던   벽면에 피어 있던 곰팡이, 골목길을 따라 걸으며 꾸었던 꿈과 같은 기억의 파편들을 조합하여 화면 속에 배치한다.
 
감민경

1970 한국 부산 출생
한국 광주 거주

감민경은 새로운 상황과 환경, 사람 사이에서 발견한 일련의 장면을 표현한 회화 작업을 병치하거나 겹쳐 놓는 실험을 통해 연관성과 대립성을 탐구하고 시선의 효과를 탐색한다. 관객으로 하여금 서로 다른 시선이 교차하는 순간 낯선 세계를 경험할  있도록 유도하고 해석의 여지를 열어 두는  관심이 있다. 최근 부산, 일본, 독일  국내외 여러 레지던시를 옮겨 다니며 거주지의 변화를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작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개인전 SO.S(SARUBIA Outreach & Support)-감민경: 나는 그의 은유였다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 서울, 2021), 잃어버린 》(갤러리조선, 서울, 2019), 지붕 없는 기억》(퀸스틀러하우스 베타니엔, 베를린, 2018) 비롯해 기억의 주름》(해동문화예술촌 아레아갤러리, 담양, 2021)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