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김성환

조회 2,675

관리자 2022-12-16 11:29

작가김성환

<머리는 머리의 부분〉, 2021, 단채널 영상, 컬러, 스테레오 사운드, 23분. ( 재 )광주비엔날레커미션.

〈구 형태의 일각(오므린 손가락)〉, 2021, 알루미늄과 스틸, 84×243×76.2cm. 이 작품은 작가의 2021년 뉴욕현대미술관 개인전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구 형태의 일각(귀)〉, 2021, 알루미늄과 스틸, 61×200×60cm. 이 작품은 작가의 2021년 뉴욕현대미술관 개인전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한 사람을 위한 두 번째 자리〉, 2021, 나무에 페인트, 실버 리프, 알루미늄, 114×112×68cm. 이 작품은 작가의 2021년 뉴욕 모마 (MoMA) 개인전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누구의 머리를 들고 있는 누구〉, 2022, 디지털프린트, 디본드, 연필, 나무, 프라이머, 수성 포스터 마커, 못, 105×94.5×10cm.

〈O ka hua o ke k ōlea aia i Kahiki 물떼새알 이역에서 보지〉, 2022, 연필, 아크릴 페인트, 수성 포스터 페인트, 유성 포스터 페인트, 트레이싱지, 브리스톨지, 마운팅 보드, 투명 필름, 알루미늄 테이프, 힌징 테이프, 문서용 보수 테이프, 양면 테이프, 아세테이트 테이프, 풀, 119×114×8.5cm.

〈이 은유를 품은 은유〉, 2020 –2021, 연필, 아크릴 페인트, 수성 포스터 페인트, 유성 포스터 페인트, 트레이싱지, 브리스톨지, 마운팅 보드, 투명 필름, 알루미늄 테이프, 힌징 테이프, 문서용 보수 테이프, 양면 테이프, 아세테이트 테이프, 풀, 119×114×9.8cm.

활성화된 사진 틀: 〈은 발을 들고 섬〉, 2022, 디지털 프린트, 매트 보드, 무반사 유리, 44×44×4cm.

활성화된 사진 틀: 〈소리내는 나무〉, 2022, 디지털 프린트, KAPA 알루미늄 보드, 칩보드, 풀, 42×42×4cm.

활성화된 사진 틀: 〈나무 옆에 서 있는 신원미상의 여성 , 팔라마 세틀먼트 아카이브에서 사진을 촬영한 사진〉, 2022, 디지털 프린트, 디본드, 128.5×184×6cm.

활성화된 사진 틀: 〈조지 헬름 , ‘프로텍트 카호올라베 오하나’(카호올라베섬을 지키는 이웃식구 )의 설립자, ‘코쿠아 하와이’(하와이 보전회 )를 위한 기금 모금 행사에서 「와이키키의 조개껍데기」를 연주 중인 모습, 1973〉, 2022, 사진: 에드 그리비, 글: 하우나니 -케이 트라스크, 젤라틴 실버 프린트, 투명 필름, 매트 보드, 유리, 96×74×3.5cm.

활성화된 사진 틀: 〈하와이 오아후섬 동쪽 끝에 위치한 와와말루에서 열린 ‘우리의 파도를 지키자’(신해불이 ) 철거 반대 집회, 1972년〉, 2022, 사진: 에드 그리비, 글: 하우나니 -케이 트라스크, 젤라틴 실버 프린트, 투명 필름, 매트 보드, 유리, 92×74×3.5cm.

활성화된 사진 틀: 〈조선 선창가의 노동자, 비숍 박물관 아카이브에서 R. J. 베이커가 사진을 촬영한 사진, 칼리히 /팔라마, 2019, Hair is a piece of head 머리는 머리의 부분, 책, 86–87쪽〉, 2022, 무광 접착 시트에 디지털 피그먼트 프린트, 232×330cm.

작가 제공 (사진: 권수인)

 

 작업은 20세기   조선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자 역사를 주요 논제로 다루며 영상, , 설치로 구성되는 작가의 다중 연구 연작(聯作) 표해록〉(2017~) 일부이다. 작업의 주요 배경은 한민족(韓民族) 뿐만 아니라 태평양을 횡단한 많은 초기 이민자들이  세기 동안 거쳐간 핵심적 통과 지점이자 그들이  딛은 최초의 미국  하와이이다. 1903 조선인들은 일본인 파업 노동자를 대체하여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기 위해 처음 하와이로 이주했다. 작가는 사진으로 맞선을 대체하고 하와이로 이주한 사진 신부 구전 역사를 인용하며 이야기를 확장한다. 여기서 하와이는 지리적 위치이자 하나의 개념이며 부유하는 지각판 위에 놓인 화산 활동의 흔적이자  자체로 표류하는 땅이다. 하와이로 이주한 구한말 사람들의 이야기는 하와이의 원주민인 카나카 마올리민족과 그들 국가의 쇠락해가던 운명의 연대기와 연결되며 민족과 지역의 한정된 범주를 넘어선다. 작가는 경계 너머 타국의 비극을 이해하는 방법으로서 표류자와 표류지를 연결하고  역사화 과정에서 발견된 것들 그리고 새롭게 가능한 구조와 이미지를 탐색한다. 이번 전시를 위한 신작 사진 설치 활성화된 사진 (Live Photo Cases)〉에서 나무 옆에  있는 신원미상의 여성, 팔라마 세틀먼트 아카이브에서 사진을 촬영한 사진 20세기  하와이에 이주한 한인 후손들 그리고 다른 저소득층 이주민들의 의료  교육 센터로 쓰였던 팔라마 세틀먼트 센터 (Palama Settlement) 아카이브 사진과  열람 행위의 자취를 재촬영하였고 소리내는 나무 바람에 부대끼며 휘파람 소리를 생성하는 하와이의 주요 나무의 모습을 찍은 것이다.  발을 들고  현실 차단의 공간 안에서의 현실을 상상하면서 사용하는 비유와 여기서 생성되는 유희를 포착한 장면이다. 한편, 하와이의 주권과 그들 고유의 신토불이 또는 신해불이 운동을 기록한 에드 그리비의 사진과 하와이 독립  민족 운동가 하우나니-케이 트라스크의 글을 결합한 작업  점은 하와이의 역사적 순간을 한인 이주 역사에 병치한다. 사진  기타를 들고 있는 조지 헬름은 카호올라베 섬의 고유성을 지키려다 바다에서 행방불명된 활동가이다. 카호올라베 섬은 표적도라고 불릴 만큼 가혹한 미군의 포격 훈련지로 쓰인 하와이의   하나로 1950년대에는 한국 전쟁의 한반도 가상 포격 훈련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은유적 장면과 기록 사진을 병치하는 작업은 새로운 인지적, 심리적 경계를 구획하게 된다. 사진  인물은 시대에 따라 자신의 몸의 위치, 표정, 주변의 장식을 교정하며 카메라 앞에 마주한다. 살아 있는 또는 죽은 나무들 앞에서 그들에 기대거나 그들이 지고 찍은 사진들은 해당 인물과 연관된 수많은 생물과 무생물의 증거로 남는다.

전시 공간 안에는  개의 금속으로 만든 사물이 있다. 하나는 손으로 두들겨 만든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압착하여 용접한 , 그리고 나무 의자에 부착된 것이다. 모호한 기능의  사물들은 특정한 구문적 분류로부터 자유롭다. 지정과 색인이 어려운, 따라서 수집에서 벗어나는 사물을 서사와 병치하며 작가는 존재 상실의 문법보고, 무게를   있고, 크기와 진동을 가진 사물이   있는 문법 시도한다. 2021 광주비엔날레를 시작으로 2021 뉴욕현대미술관 개인전과 2022 하와이 트리엔날레를 거치며 점차 확장, 정교해지고 있는  연작 설치는 전시마다 새롭게 반복 변주되며 명확한 경계의 윤곽선을 배제하였을  드러나는 대상의, 역사의 좌표를 따라간다. 이를 통해 작가는 태평양을 가로지는 물결의 일부로서 보다  역사 안에서 부유하는 우리를 바라본다. 마지막으로  연작의  번째 영상 작업 표해록,  2〉(가제) 전시의 종료 시점에 맞추어 영도 야외 극장에서 처음으로 상영될 예정이다.

 
김성환

1975 한국 서울 출생
미국 뉴욕 거주

김성환은 영화와 영상, 드로잉, 음악, 건축, 문학과 자신의   다양한 매체를 접목해 설치, 퍼포먼스, 라디오극,  등의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소위 현재라고 불리우는 특정 시대의 공간과  역사, 언어, 문화를 주목하며, 사회 체계와 교육 제도가 우리의 사고 방식  수용하는 태도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 탐색한다. 주로 인물의 행적을 담은 전기(傳記), 공상 과학, 민간 설화, 신화, 집단 기억 등의 요소들이 접목되는 그의 작업은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사안을 위한 은유를 만들어낸다. 오늘날 이주에 관한 주된 담론과 역사 교육에 비해 현저하게 결여된 20세기   조선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 이민자들의 이야기를 추적하기 위해 다중 연구 프로젝트인 표해록〉(2017~) 진행해 오고 있다. 주요 개인전으로 Sung Hwan Kims Temper Clay》(뉴욕현대미술관, 뉴욕, 2021), And who has not dreamed of violence? و منو الما حلم بعنف؟》(DAAD갤러리, 베를린, 2018) 있으며, 주요 단체전으로 하와이 트리엔날레 2022, 57 베니스 비엔날레(2017) 등이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