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죽음이 있어야만 한다면 부활이 있기를

조회 14,151

관리자 2005-08-06 14:08

작가문테안/로젠블룸
문테안/로젠블럼의 그림은 우리가 인지하는 사물들이 미디어, 광고, 영화나 대중문화 등에 의해서 영향을 받아 형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그들의 그림은 신문의 연속만화처럼 TV나 감독들의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주제를 미술의 역사나 예술과 관련하여 만드는 것을 생각한다.
그들 작품의 형상들은 ID, FACE, VOGUE 와 같은 잡지들을 모델로 삼았으며, 이런 잡지들은 그들이 사용하는 복합적인 요소와 형상을 제공해 준다. 이는 젊은이들이 상품성 있는 시장이라는 삶 속에서 나온 것이며, 젊다는 것은 영원한 자제력의 도구가 되어왔다. 잡지는 감동적인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고, 미술의 역사에서 비유적인 주제뿐 아니라 저항, 이상향 및 구획을 지을 수 있는 전문가와 협력하고 있다.
그들의 새로운 비디오 작품에는 문화나 관습의 흔적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행위자는 서있거나 황무지의 버려진 언덕으로 이동중이거나 영적 공동체의 제자나 추종자처럼 보인다. 카메라는 한 무리의 새나 애조띤 바로크 음악의 선율에 맞춰 움직이는 바람에 따라 형성되는 드라마틱한 모습의 구름을 보여준다. 행위자는 운명의 부조리한 행렬 속에서 순례자의 모습으로 움직이고 있다. 성도의 그림이나 초상 대신 그들은 저항성 내용의 판자와 판독하기 어려운 깃발을 가지고 있다. 화면 밖 해설로 나타난 우리세대(We of a generation)는 확실성의 면에서 여러모로 불안한 하다. 무한한 시간에 갇혀 동일한 것의 계속적인 반복으로 교환가치를 망쳐버림을 보여준다. 행위자의 외모와 옷은 전형적인 젊은이들의 문화를 따르고 있지만, 영화상의 무대장치는 다양한 종교와 감동적인 주제를 묘사하며 추억을 불러일으킨다. 문테안/로젠블럼은 인위적인 각색으로 심미적인 구조와 무의미한 것의 비애의 잠재적인 수단화를 조사하였다.

발췌: 코지마 레이너, How soon is now ( 비엔나 Georg Kargl의 문테안/로젠블럼 전시회 How soon is now, 2004년 6월 26일 ~ 8월 15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