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토러스

조회 13,827

관리자 2013-03-25 09:39

작가김주현
본전시

 
토러스

복잡성 연구
김주현의 조각은 모형으로 기능하는 미술작품의 능력을 탐색한다. 모형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앞으로 지어질 건물을 위한 형태적 패턴으로 쓰이거나, 세상에 대한 우리의 관찰을 정리해주기도 한다. 두 기능 모두 김주현의 작품에서는 어떤 역할을 맡는다. 작가는 단지 작품을 만드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한국 건축의 파행적인 모양새에 개입하려는 강한 충동을 느끼고 있다. “배움의 정원”에서 작가는 서로 다른 크기의 작품에 두루 통달했음을 보여주는 다양한 작품들을 전시한다. 작은 조각들은 뚜렷한 공식 언어로 된 건물 조각들처럼 보이는가 하면, 대형 조각—미술관 두 층을 가로지르며, 이번 전시를 위해 제작된 것—은 미술관 건축에 대해 논평한다. 이 작품의 주된 시적 기능은 미술관이 미술작품을 담는 용기 (혹은 무덤)라는 인식과 더불어 건물의 융통성 없는 레이아웃을 해체하는 것이다.
자그마한 조각들은 기하학적 프랙탈이나 서로 닮은 꼴에 기반한 연관 구조를 보여준다. 이것들은 별 것 아닌 방법으로 주어진 구조적 요소들의 변형을, 또는 그 요소들에 질서를 부여하는 관계 변형을 연출한다. 조각들은 직관보다는 좀 더 체계적인 과정으로부터 나온 듯 보이지만, 실제로는 외견상의 모순이 잘못된 것임을 증명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