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5,352
관리자 2022-12-16 11:59
1941년 한국 진천 출생
미국 뉴욕 거주
임충섭은 1970년대 초 뉴욕으로 이주하여 다양한 매체적 실험을 통해 기존의 관습화된 조형관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고 있다. 유년 시절 어머니의 부재로 인한 그리움과 갈망 그리고 한국전쟁이 남긴 강렬한 기억은 작가의 예술관에 영향을 끼친다. 돌, 실, 흙, 나무, 철사같이 일상생활에서 사소하다고 여겨지는 물건에서 고향의 기억을 재구성하고 나아가 인간 문명의 역사와 인간의 잠재의식을 인식한다. 개인전 《드로우잉, 사잇》(갤러리현대, 서울, 2021), 《임충섭: 달, 그리고 월인천지》(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2) 등과 제2회 광주비엔날레(1997)를 포함해 《How Objects Grasp Their Magic》(페이스갤러리, 서울, 2022) 등 여러 단체전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