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임충섭

조회 5,352

관리자 2022-12-16 11:59

작가임충섭

 〈땅. 맞이 I〉, 2015, 변형된 캔버스에 아크릴, U.V.L.S. 겔, 127×107.2×7.6cm.
〈떠돌이〉, 2015, 변형된 캔버스에 아크릴, U.V.L.S. 겔, 94.5×47.7×15.3cm.
〈Scape@Fossil 1 – 8〉, 2008, 아크릴, 발견된 오브제, 혼합매체, U.V.L.S. 겔, 45.7×47×15.2cm (8).
〈화석 풍경-대화〉, 2006, 발견된 오브제, 혼합매체, 26×45.7×20.3cm
(5).
〈무명 실 한 가닥, 그리고 천 편의 강〉, 2000 – 2001, 비디오 프로젝션, 키네틱, 혼합매체, 가변크기.
   
임충섭은 충북 진천에서 태어나 1970년대  뉴욕으로 이주한 이후 회화, 설치  다양한 매체적 실험을 통해 자연의 수평과 문명의 수직을 연결하는 ‘사잇’ 존재로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한다. 유년 시절 여읜 어머니를 향한 원천적인 그리움과 한국 전쟁이 남긴 강렬한 기억은 작가의 예술관에  영향을 주었다. 돌과 , 흙과 나무 같은 일상의 재료를 기반으로 고향의 삶과 자연의 형상을 구성하고 이후 도시에서 경험한 인간 문명의 역사와 잠재의식을 고루 성찰하여 작업을 구축한다. 무명   가닥, 그리고  편의  무명 실이 연결된 베틀의 형태 주변으로 강물이 영사되는 키네틱 설치 작품이다. 여백이 있는 한국 전통 마당과 같은 수평 공간에 실의 진동이 형성되어 고요한 장소에 떨림을 만든다. Scape@Fossil 1-8〉, 화석 풍경-대화 연작은 작가가 뉴욕 허드슨강 주변을 매일 산책하면서 발견한 사물들을 모은 하나의 기록이자 함축된 시이다. 사물의 아상블라주를 작업의 주요 문법으로 삼은 작가는 이질적 사물들이 함께 있음으로써 발생하는 충돌을 통해 학습화된 개념과 규칙을 무화하며 새로운 사고를 촉발시킨다. 변형된 캔버스 연작의 떠돌이〉, . 맞이 I 일견 단색 추상의 조각으로 보이지만 미묘한 곡선과 세부 구성으로 다양한 독해의 여지를 갖는다. 캔버스를 기와집, 농기구, 얼굴 등을 닮은 형태로 과감하게 변형하고 자연을 닮은 색으로 칠한 것이다. 그의 작업은 자연과 문명, 주체와 대상, 동양과 서구의 이분법을 벗어나  사이의 본질적인 공존을 위한 소통과 관계의 형성을 제안한다.
 
임충섭

1941 한국 진천 출생
미국 뉴욕 거주

임충섭은 1970년대  뉴욕으로 이주하여 다양한 매체적 실험을 통해 기존의 관습화된 조형관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고 있다. 유년 시절 어머니의 부재로 인한 그리움과 갈망 그리고 한국전쟁이 남긴 강렬한 기억은 작가의 예술관에 영향을 끼친다. , , , 나무, 철사같이 일상생활에서 사소하다고 여겨지는 물건에서 고향의 기억을 재구성하고 나아가 인간 문명의 역사와 인간의 잠재의식을 인식한다. 개인전 드로우잉, 사잇》(갤러리현대, 서울, 2021), 임충섭: , 그리고 월인천지》(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12) 등과 2 광주비엔날레(1997) 포함해 How Objects Grasp Their Magic》(페이스갤러리, 서울, 2022)  여러 단체전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