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무제-절망의 완수

조회 16,737

관리자 2013-03-25 10:19

작가김용익
본전시

 
무제-절망의 완수
가까이… 더 가까이…
김용익의 회화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그려진 이미지와 캔버스 표면의 관계에 대한 집중이다. 그의 초기 작업에서는 이미 스스로 캔버스 위에 그린 그림의 진위 문제나 회화의 자율성 자체는 약화시키고, 정통 미니멀리즘적인 이미지를 고수하려는 작가의 상반된 의도가 뚜렷하게 살펴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 이후의 작업들을 보면, 주로 어떤 종류의 작가적 공식에 더 적극적으로 의존했음을 알 수 있다. 이 공식은 동그라미(dot) 모양에 기초하여 성립되는데, 이 간단한 동그라미 무늬는 미묘하지만 동시에 무한한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회화에 대한 김용익의 미학적 배경이 1970년대 이후 등장했던 “단색화(Dansaekhwa: Korean Monochrome Painting)“운동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윤리적으로 무관심한 태도를 취하거나 진부해진 것에 대해 반대하는 정치적인 입장을 확실하게 취하고 있다. 그가 한 사람의 작가로서 정치적 반대의 입장을 갖게 된 이러한 태도는, 1960년대 초반부터 아주 빠르게 진행되었고 지금도 여전히 그 영향이 뚜렷한(주로 한국 교육 체제에서), 철저하게 군사화된 근대화 과정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치 말랑말랑한 고무의 둥그런 형태처럼 생긴 이 동그라미 형태는 비(非)회화적인 구성물로 처음 소개되었다. 작가는 이미 무언가 그려진 캔버스 표면 위에 이 작은 동그라미를 규칙적인 격자무늬로 나열하였다. 또한 이런 특정한 진행 방식에 기초하여 이후에도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나타내거나, 여러 색으로 동그라미를 나열하였으며 종종 그 주변을 둘러싼 아우라를 함께 표현하기도 하였다. 동그라미 형태에 대한 형식적인 대안으로 그의 다른 회화 작업에서는 사각형 모양이 격자로 정렬되어 있기도 했다. 둥근 점이나 사각형의 형태 외에도, 작가는 작품의 제작 과정에서 생기는 물리적인 궤적도 중요하게 생각했는데, 예를 들어 그가 작업실에서 캔버스 위를 고의적으로 걸어 다니면서 생긴 발자국 같은 것이 있다. 혹은 논평과 짧은 메모 같은 것들을 그림 위에 쓰기도 한다. 그림과 병치된 짧은 글들은 주로 이전에 작가가 썼던 여러 비판적인 글들에서 발췌되었다. 시적이면서 자전적이기도 하고 또 반복적이기도 한 이 글들은 파편화된 형식으로 존재한다. 회화적인 것들과 직접적인 연관 없이도 여러 현실적인 상황으로부터 작가는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작가는 캔버스 위의 발자국을 그 자체의 상징적인 모양으로 드러내기보다 반투명한 하얀색 물감의 층위로 한번 더 그 부분을 덮어 깊이감을 준다. 혹은 그는 동그라미 주위에 우연히 그려진 듯한 연필 선을 오히려 강조하기도 한다.
캔버스 위의 이미지를 계속 수정하고 화면 위에 겹겹이 이미지를 얹는 이 과정은 김용익의 회화 작업에서 중점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그의 회화가 갖는 독특한 특징이다. 가끔 그가 썼던 묵직한 내용의 글들이 캔버스 뒷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이것은 결국 감상자로 하여금 그림의 앞 뒷면 사이를 교섭하도록 권하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