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6,687
관리자 2013-03-25 10:17
카마겟돈
코리안 묵주
오랜 예술가 생활을 거치면서, 바일레는 연속적인 표면 패턴을 반복적으로 다루었으며 기계의 내면의 삶을 이야기해왔다. 젊은 시절 여행했던 중국과 한국에서 큰 영향을 받은 바일레은 아시아의 규격화된 모듈 생산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서구 예술가들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의 작품은 연속성의 기적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믿음을 증명한다.
오늘날 연속성 개념은 주로 공업 생산과 연관이 되지만, 사실 그것은 특별히 근대적인 매력을 갖고 있다기보다는 수예나 날염기법 같은 전통 공예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연속성을 만들어내는 반복적 움직임은 제의와 종교의식에서도 발견된다. (예: 가톨릭의 묵주 기도나 불교의 만다라화)
바일레의 작품에 따르면, 연속성의 두 가지 측면 – 끝없이 반복되는 장식과 반복을 통한 정화 – 을 따로 떼어 얘기할 수 없다. 비가 올 때 차 안에 앉아 있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앞 유리창의 와이퍼가 내는 단조로운 소리와 단조로운 움직임에 익숙할 것이다. 소리와 움직임은 같이 어울려 차 안의 세계를 바깥 세계와 단절시킨다. “배움의 정원”에 전시하는 작품에서 바일레은 쌍용 액티언 자동차 와이퍼 연결부의 본래 기능을 덜어내어 그것의 명상적인 역할을 강조한다. 여전히 기계로 존재하지만, 와이퍼는 마치 지휘자가 된 듯 관람객의 속도를 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