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

조회 16,307

관리자 2013-03-25 10:10

작가쉴라 고다
본전시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

인도의 예술가 쉴라 고다는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라는 제목의 설치 작품에서 회화와 조각, 일상적 재료의 기능적 사용과 그것의 추상화된 의미 사이의 겹침을 탐색한다. 회화와 조각의 조화로운 통합이 과거의 것이라면 (바로크 교회와 불교 사원을 생각해보라), 동시대 미술은 예술의 실존에 대한 궁극적 보증이 없다는 도전에 응해야만 한다. 미술이 생존하도록 허락된 장소인 미술관은 하나의 덫이다. 즉, 미술관은 모든 것을 위해 모든 것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예술의 능력을, 총체적 아젠다의 예술을 배신한다.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는 버려진 재료, 나무 기둥, 창문틀, 문, 탁자, 그리고 지역 건축물에서 나온 다른 파편들을 조립한다. 이러한 파편들을 어느 정도 서로 상응시키기 위하여, 작가는 사용된 오브제 일부에 몇 가지 강렬한 색(전형적인 인도의 색채)을 입혔다. 공간적인 배치는 거꾸로 뒤집어진 탁자(그것의 다리는 눈에 쉽게 들어오는 형식이 된다), 천정에 매달려 있거나 바닥에 균형을 잡고 있는 빔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작품의 일반적 상태를 더욱 강화한다. 그러나 이 조각 작품의 핵심은 다양한 밀도로 설치 전체를 보완하는 나무 조각들이다. 그 나무 조각들은 차라리 무정형의 덩어리가 되어 바닥 공간이나 탁자의 일부분, 그리고 코끼리를 가릴 수도 있다. 작은 그룹인데다 단일한 형상들에 불과하지만, 그것들은 로댕의 <칼레의 시민>이나 자코메티의 실존주의를 희미하게나마 떠올리게하는 파토스를 지니고 있다. 실제로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의 다양한 요소들이 공유하는 것은 불안정성 상태이다.
이 불안정성은 나무조각들에도 스며들어 있다. 의인화의 특징 (제의적 사물로서 그 작은 나무 조각들은 보통 사람들을 대신한다)을 분명히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나무 조각들은 가장 기본적인 인간의 특징들을 가리는 거친 방식으로 대량 제작되었다. “배움의 정원”에서, 이 설치 작품은 모든 사람들을 ‘위하여’가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 ‘대하여’ 말하려는 동시대 예술의 요구와 미술관의 밀폐 공간 사이의 간극을 연결할 다리를 놓는 데 기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