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엔젤스 캠프

조회 16,032

관리자 2005-08-06 14:28

작가엠마누엘 안티유
엔젤스 캠프는 소설적인 영역과 그곳의 1년 이상의 거주민을 묘사하기 위한 욕망에서 탄생하였다. 이 작품은 4개의 에피소드를 갖는데, 각각의 에피소드는 계절을 표현한다. : 강 옆에서, 가을; 붉은 오두막, 겨울; 숲에서부터, 봄; 샛강, 여름. 영화는 세상에 적응하지 못한 주인공들이 고립된 미개한 환경에서 그러나 새로운 가정을 만들고 공유되는 경험을 표현하는 모험담의 형태이다. 엔젤스 캠프는 꿈과 현실사이의 마음속의 공간이다. 자유를 위해서 등장인물들은 그들의 비밀을 드러내고 거기엔 환상만큼 많은 비통한 이야기가 있다.
주인공의 철학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자연은 주인공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요소이다. 억압된 감정의 표현으로부터 스스로의 특징적 행위와 해방감을 통해 그들은 자유를 얻고, 심오한 고독안에서 생소한 길을 경험한다. 위험 안에서 그들은 생존을 확인하는 몸짓의 시와 상상력이 풍부한 언어 그리고 의사소통의 방법을 발전되어 간다. 매일 매일의 일상의 삶에 매료된 엠마뉴엘 안티유는 항상 그녀 작품의 초점을 인간관계에 맞추어 왔다. 보기엔 사소한 단순한 몸짓이 끼워 넣어지고 되풀이 되면서 마치 연설하는 것처럼 작품의 초점 밖으로 이끌어 나온다.

Falling angels에서 발췌, 실라 레버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