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사이카즈테니아 10 시리즈 2

조회 15,651

관리자 2005-08-06 14:25

작가크누트 애스담
아주 강한 시각적 공간적 형식으로 관객의 경험을 강조하며 애스담은 공간의 동기와 주관성의 경계선들을 작용시키도록 하는 소리, 필름, 비디오, 사진 및 건축물 등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들은 종종 욕망, 관습, 역사의 측면에서의 공간의 분석과 상위적 테마에 연관되어져 있다.
정신 쇠약 10 serues 2의 슬라이드 영사에서, 우리는 서구 도시들에서의 아파트 건물들을 밤에 찍은 사진들을 보게 된다. 낮게 흐르는 불빛과 색조들은 그들의 경제적 혹은 계층적 관계성에 대한 언급을 배제한 체 단지 우리들의 경험, 환상 심지어는 편견까지도 그 이미지 안에 영사되어 보여지도록 이루어져1959년과 1992년 사이의 배경들을 모두 혼합한 듯한 황량한 미의 영상들이 공존하고 있다. 바깥 배경 건물 외부의 낡은 흔적은 우리 자신의 경험과 생각 혹은 도시의 이야기와 연결되어 우리 자신이 해석 해야 할 몫으로 주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