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22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아카이브부산비엔날레2022부산비엔날레전시기획자큐레토리얼 어드바이저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부산비엔날레 큐레토리얼 어드바이저

크리스틴 토메

크리스틴 토메

  • 크리스틴 토메는 아슈칼 알완-레바논조형미술협회-의 초대 디렉터이다. 1993년 베이루트를 기반으로 설립된 본 비영리 단체는 현대예술의 실험과 연구 및 교육의 방식들을 탐구해왔다. 토메는 아슈칼 알완을 통해 2001년 이후 다학제적 플랫폼 「홈 웍스: 문화 실천 포럼」을 8회 운영했고, 2011년부터는 10개월간의 무료 예술 연구 프로그램인 「홈 워크스페이스 프로그램」을 진행해오고 있다. 제13회 샤르자 비엔날레 《타마우즈》(2017)를 기획했다. 샤르자와 베이루트에서 각각 전시와 공공 프로그램이 1막, 2막으로 열렸고, 그 밖에 샤르자에서는 일 년 간의 교육프로그램, 다카르와 라말라, 이스탄불과 베이루트에서는 위성 프로젝트들이 운영되었으며 온라인 출판 플랫폼을 제시하기도 했다. 『애프터올』과 베이루트 기반의 비영리 기구인 ‘헤이븐 포 아티스트’의 위원으로 있으며, 유네스코_아랍 문화를 위한 샤르자 상(2018), CCS 바드 오드리 어마스 큐레이터 상(2015), 프린스 클라우스 상(2006)을 수상했다. 베이루트 출생으로 그곳에서 삶과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베이루트의 아메리칸 대학교에서 영문학 학사를, 골드스미스 런던대학교에서 현대미술이론 석사를 받았다.

필립 피로트

필립 피로트© Diana Pfammater

  • 필립 피로트는 버클리대학교 미술관과 퍼시픽 필름 아카이브의 부수석 큐레이터이며, 프랑크푸르트 슈테델슐레 미술대학의 미술사 및 큐레토리얼 스터디스 교수로 소속되어 있다. 피로트는 도큐멘타의 예술감독 선정위원(2019-2022)을 역임하며 도큐멘타 15(2022)의 예술감독으로 루앙루파를 선정했다. 현재 마스트리히트의 보네판텐 미술관에서 있을 인도네시아의 퍼포먼스 작가 멜라티 수료다모의 첫 번째 회고전과, 베를린 그로피우스 바우에서 개최될 그룹전 《반둥 스피릿》을 준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1955년 인도네시아 반둥에서 열린 아시아-아프리카 정상회의와 관련한 문화예술의 발전에 주목하는 일련의 온라인 라운드테이블 「색의 장막과 반둥의 약속」(2021)을 열은 바 있다. 피로트는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슈테델슐레의 학장 직위와 포르티쿠스 미술관의 관장을 역임했다. 이에 앞서 1999년 앤트워프 현대미술센터 ‘오브젝티프’를 공동 창립했고,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스위스의 쿤스트할레 베른에서 디렉터를 역임했다. 최근에는 베를린의 사비 컨템포러리에서 카메룬 작가 빌리 비조카의 서베이 쇼를, 그리고 NTU 싱가포르 현대미술센터에서 그룹전 《아루스 발릭-바람 아래에서 바람 위로, 그리고 다시 돌아오기》(2019)를 기획했다. 2017년 자카르타 비엔날레의 큐레토리얼 팀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2016년 캐나다 몬트리올 비엔날레의 예술 감독을 역임했다.

육 후이

육 후이

  • 육 후이는 런던의 골드스미스 대학에서 프랑스 철학자 베르나르 스티글러의 지도 하에 박사 학위논문을 썼으며, 독일 로이파나 대학교에서 철학 교수 자격을 취득했다. 후이의 저서들은 십여 개의 언어로 번역되었는데, 『디지털적 대상의 존재에 대하여』(미네소타대학 출판부, 2016), 『중국에서의 기술에 관한 물음-알고리즘 시대 인문학의 새로운 시작: 코스모테크닉스 시론』(어바노믹, 2016), 『재귀성과 우연성』(로우맨&리틀필드, 2019), 『예술과 코스모테크닉스』(미네소타대학 출판부, 2021) 등이 있다. 2014년부터 ‘철학과 기술을 위한 리서치 네트워크’의 창립자이자 의장으로 있으며, 현재 베르그루엔 철학상의 심사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홍콩시티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