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주제

2010부산비엔날레

진화속의 삶
Living in Evolution

진화속의 삶(Living in Evolution)

우리는 각자 개별적 삶을 살아가고 있다. 한 인간의 삶은 출생의 순간으로 시작되어 사망의 순간으로 끝나게 된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으로, 우리 인류는 고대부터 지속되어 온 좀 더 긴 시간 속을 살아가고 있기도 하다. 인류는 이러한 긴 역사를 통해 지적 ·생물학적 측면에서의 발전을 경험해왔으며, 이러한 발전은 미래에도 계속될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개인으로서의 삶, 그리고 보다 장구한 진화적 시간의 축을 동시에 살아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매우 복잡다단하며 때로는 자기모순적이기도 하다. 경제적 발전 혹은 정치적 권력의 확대는 종종 개인의 삶을 억압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으며, 과학적 발전의 산물은 실제로 전쟁에 이용되어 오기도 했다. 문명의 발명품들이 우리의 일상생활에 매우 큰 편의를 가져다 준 것도 사실이지만, 산업혁명 이후 많은 이들은 오히려 이러한 발명의 결과들을 비판하기에 이르렀다. 예컨대 대중 매체와 광고에서 볼 수 있는 아름답고 건장한 사람들의 이미지는 인류가 이상적 방향이라고 믿고 추종하는 발전적 기준이 되었으나, 반면에 이러한 성향의 발전은 이상적 기준에 적합하지 않는 사람들을 소외시켜버리는 결과도 함께 낳았던 것이다.

다양한 형태의 모든 예술은 인류의 지적 발전에 공헌해왔다. 미술사의 영역에서, 19세기 마네(Edouard Manet, 1832-1883)의 회화 작품이나 20세기 초 뒤샹(Marcel Duchamp, 1887-1968)의 오브제들은 당시에는 창작물로써 높게 평가되지 못한 대표적인 사례들로 거론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 작품의 가치와 개념 역시 시간의 흐름과 함께 확연히 변화되었다.

개인의 삶과 인류의 진화라는 두 개의 시간 축이 항상 분리되어 있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한 인간으로서의 작가가 제작한 예술작품이 보다 넓은 인류의 진화에 공헌하게 되는 경우와 같이, 그들은 때때로 서로 만나기도 하는 것이다.

우리는 각자 개별적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진화의 과정 속을 살아가고 있기도 하다. 인류의 진화는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어느 누구도 그 진화가 어디로 향해 가는지 알지 못한다. 이 전시에서는 이와 같이 우리가 오늘날 살아가고 있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시간 축을 고려해봄으로써 예술과 사회, 세계, 역사 그리고 미래 사이의 관계를 통찰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