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0 시간의 양극

조회 13,175

관리자 2011-04-11 22:20

작가짜오 쩡우
콘크리트는 견고한 인공물이다. 그것은 오늘날 인간들의 삶의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재료가 되는 것이고 도시문화는 그 위에서 무한대로 팽창한다. 콘크리트와 철근구조 속에서 인간의 유일한 존재는 인간의 아픔을 낳고 있고 존재의 위기를 잉태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나는 문뜩 느끼는바가 있어 반죽된 콘크리트를 천년의 낡은 목선(木船)주변에 부어 그것들을 하나로 만들어 버렸다. 배는 바다를 갈망하지만 철근콘크리트는 배를 응고시키고 그의 자유를 속박한다. 나는 하나의 조형물 안에서 서로 배척상태에 있는 이 두 개념의 간극 사이에 진화의 십자로에 서있는 현대인의 삶의 고뇌를 담고 싶다. 시간의 양극이 혼재되어 있는 이 조형물 앞에서 당신은 무엇을 생각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