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 비어있는 미떼

조회 17,080

관리자 2018-08-20 20:14

작가히토 슈타이얼
<비어있는 미떼>, 싱글채널 비디오, 62분, 1998, 작가 제공

<특별우주선>, 3채널비디오 설치, 환경, HD 비디오, 컬러, 사운드, 12분 30초, 2016, 작가 제공


히토 슈타이얼
비어있는 미떼
특별우주선


분할된 영토를 심령적 차원에서 재구조화해 보려는 이번 비엔날레의 주제를 곱씹어 보면 슈타이얼의 작업 중 두 작품이 이 주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비어 있는 ‘미떼(Mitte)’〉(1998)은 베를린 중앙에 있는 포츠담 광장에 관한 한 시간 분량의 필름 에세이이다. 이 광장은 제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 사람들로 붐볐던 베를린의 심장으로 상점, 카페, 행인, 차들로 시끌벅적했으나, 냉전 시대에는 베를린 장벽의 일부가 이곳을 가로질러 늘 위험이 도사리는 지뢰밭 같은 곳이었다. 1989년 독일 통일 이후 광장은 다시 베를린의 중심지로 붐비게 되었지만, 곳곳에 소니, 메르세데스 벤츠 같은 거대 글로벌 기업 건물의 건설 현장으로 가득 찼다. ‘새로운 중심지’를 뜻하는 ‘새로운 미떼(Neue Mitte)’는 빈곤한 이주민 공동체가 이곳에 기틀을 마련할 엄두도 내지 못하도록 만드는 정치적 문구가 되었으며, 슈타이얼의 영상 작품은 이와 같은 이 지역의 변화를 분석한다. 또 다른 영상 설치 작품 〈특별우주선〉(2016) 역시 분할된 영토와 관련이 있는데, 이라크를 비롯한 여러 국가로 갈라져 버린 쿠르드인의 영토를 묘사한다. 이 작품에서 쿠르드인 드론 조종사는 국립 천문대에서 이라크 내 쿠르디스탄 지역으로 드론을 날려 보낸다. 작가는 여기에 공상(과학)적 요소를 가미하여 항공 우주국이 이 지역을 점령할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풀어내고, 그 전개 과정에서 서로 상이한 중층적 현실의 단면들, 가령 비디오 게임의 가상성으로 대변되는 하나의 현실, 또한 목동과 양이 한가로이 대화를 나누는 목가적인 현실 등이 중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