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메간 코프

조회 3,682

관리자 2022-12-16 13:17

작가메간 코프
〈킹인야라 구윈얀바 (오프 컨트리)〉, 2022, 굴, 목재, 철, 가변크기.
〈다큐멘터리: 킹인야라 구윈얀바〉, 2022, 단채널 비디오, 컬러, 8분 12초.
 
메간 코프는 2016년부터 패총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작업해 왔다. 패총은 조개,  껍질, 동물의 뼈와 같이 고대인들의 생활에서 파생된 잔여물이 쌓인 것으로서 고고학적인 의미를 가지지만, 특히 호주에서는 원주민들의 주권을 증명하기도 한다. 작가는 식민 시대 이후 건설용 모르타르와 라임스톤을 만드는   같은 패총을 파괴해서 얻은 재료를 사용한 것에 주목해 왔다. 굴은 작가의 선조인 퀀다무카 사람들의 주식이었고, 그들은 수작업으로 만든  양식장에서 적당한 양의 굴을 생산하여 소비해 왔다. 그러나 1820 이후 지역의  생산은 늘어나는 수요에 맞추기 위해 대규모 산업 형태로 변화했고,  같은  생산 방식은 다른 폐해를 낳았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설치와 다큐멘터리 영상  개를 선보인다. 킹인야라 구윈얀바(오프 컨트리)〉 나무 기둥에  껍질을 엮은  갯벌에 꽂아 기르는 전통 양식법을 차용한 설치이다. 작가는 호주의 해안가에  같은 나무 기둥을 심어 굴이 자랄  있는 환경을 만든다. 이번 설치에서는 경남 진해에서 수급한  껍질을 사용하여 전통적 양식 방식을 재현한다. 경남 지역은 한국  양식의 85퍼센트를 차지하는 지역이다. 한국에서도 과거에 호주 콴다무카 지방과 같은 지주식  재배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수하식  양식이 일반적이다. 설치와 영상은 호주와 한국의 전통과 문화  자연 친화적 삶의 방식을 상기시킨다.
 
메간 코프

1982 호주 브리즈번 출생
브리즈번 거주

메간 코프는 호주 퀸즐랜드 남쪽 섬인 퀀다무카의 원주민 아티스트로 장소 특정적 조각과 설치, 영상 작업과 회화를 통해 정체성과 동시대 환경 문제를 연구한다. 기존 원주민 개념에 저항하는 그의 작업은 지도와 언어를 사용해 그들이 속한 지리적 위치를 그려내며, 호주의  역사에서 식민지화가 땅과 , 그리고 사람들에게 미친 영향을 드러낸다. Low Pressure》(밀러니 갤러리, 브리즈번, 2022), Fractures & Frequencies》(UNSW 갤러리, 시드니, 2021) 등의 개인전을 개최하는 한편, Réclamer La Terre (팔레  도쿄, 파리, 2022), Connecting the World through Sculpture》(모내시 대학교 미술관, 멜버른, 2021), 7 타라와라 비엔날레(2021)  다수의 국제전  단체전에 참여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