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강태훈

조회 3,417

관리자 2022-12-16 13:13

작가강태훈

〈그들은 어디로 가나이까〉, 2022, 7채널 비디오 프로젝션, 프로젝션 매핑, 스테인리스 스틸, 폴리카보네이트, PVC필름, 420×690×350cm, 19분 10 초.

 

부산에서 태어나 줄곧 살아  작가는  세계 도시들을 가로지르며 연결하는 컨테이너를 통해 부산이란 도시가 어떻게 세계 자본주의 질서에 편입되어 있는지 살피면서  안에서 밀려난  없는 자들의 삶을 드러낸다.

컨테이너 형태의 구조물에 영사되는 작품은 과거로부터 지속되어  전쟁의 폭발 이미지를 시작으로 부산의 역사, 산업 형태의 변화와 건축물, 사건과 사람, 이주 노동자들의 신체 등을 담고 있는 한편 작가가 살고 경험했던 장소와 사건이 다른 시공간을 두고 중첩된다. 상호 침투하고, 공명하며 컨테이너에 구축된 이미지들은 양피지에 그린 지도처럼 도시와 인간의 역사를 담아낸다. 2 세계대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해상 컨테이너는 병참 거점으로 출발한 근대 도시 부산에서 한국 전쟁 동안 안정적인 병참을 수행하는  동원되었다. 일제강점기로부터 한국전쟁을 거쳐 냉전의 접점에서  지구적 자본주의가 완성되려 하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부산은 지정학적 측면에서 지경학적 측면으로  가치가 이행되고 있으며  지구적 물류 거점의 하나로 작동하고 있다. 이제 자유로운 것은 인간이 아니라 상품이다.

점점 비물질화, 정보화되는 가상 세계로의 이행 속에서도 여전히 컨테이너들은  세계 바다를 이동하고 있다.  작품은 부산의 항구로 유입되어 도시의 도로 곳곳에서 거칠게 이동하는 수많은 컨테이너들을 통해 폭력의 조직화에 엮인 현대 제국주의의 지도를 그린다. 자본, 상품, 네트워크 지리가 결정하는 국제적 공간을 삶의 유지와 인류의 부양을 위해 새로이 협상할 것을 제안한다.

 
강태훈

1975 한국 부산 출생
부산 거주

강태훈은  지구적 자본주의 체제의 구조적 모순으로부터 비롯된 정치 사회적 이데올로기와 왜곡된 주체를 비판하고 새로운 세계와 주체성을 탐구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브리콜라주, 설치 미술, 영상과 미디어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며 작업을 선보였으며 현재도 조형적 실험을 이어가는 중이다. 전체주의적 시스템을 개인의 경험으로 해석한 개인전  머리 속의 수도꼭지》(대안공간 반디, 부산, 2006) 시작으로 암묵적 전제들》(오픈스페이스배, 부산, 2019), 어떤 믿음에 대하여》(아마도예술공간, 서울, 2016) 등을 개최했고, 2010부산비엔날레, 7 광주비엔날레(2008)  다수의 국제전에 참여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