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0 Nergo Exterior

조회 11,433

관리자 2005-09-02 16:11

작가헬레나 알메이다
- 나는 친숙한 언어에서 출발했다. 나는 친숙한 어떤 것에서 시작해야만 한다. 나는 추상미술을 만들어 내려 하지 않았으며, 모든 요소들은 조금씩 그림으로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러자 캔버스는 스스로 파괴되기 시작했다. 이것은 일종의 해체였다. 나는 그것을 회화의 해체라고 부르는데, 그것은 캔버스가 의인화되는 것으로서 끝나기 때문이다. 그것은 결국 나 자신과 동일시된다. 아마 이런 일은 모든 화가들에게 일어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그것을 회화의 해체라고 부르는데, 그것은 캔버스가 의인화되는 것으로서 끝나기 때문이다. 그것은 결국 나 자신과 동일시된다. 아마 이런 일은 모든 화가들에게 일어나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나는 그것을 글자 그대로 수행한다. 재료들은 의인화된 형태로 변형되었다. 나는 급기야 캔버스를 옷처럼 입기까지 했다. 나는 나의 작품이었다. 캔버스와 캔버스의 규모, 그리고 나 자신으 사이에는 구별이 없다. 외부와 내부 사이의 구별도 없다. 나의 내부는 나의 외부이며, 나의 외부 또한 나의 내부이다. 모든 것 안에 모든 것이 있었다. 그리고 나는 내가 세계적이라는 것을, 모든 것은 모든 것 안에 있다는 것을, 내가 캔버스 안에 완전히 존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캔버스가 내 안에 완전히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했다. 나는 캔버스 내부에 나 자신을 앉혀놓았고 나의 외부와 캔버스의 외부에는 색채가 자리잡았다. 캔버스는 살아 있었다. ('헬라나 알메이다와 마리아 드 코랄의 대화')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