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 길위의 진실

조회 16,013

관리자 2018-08-20 19:56

작가정윤선
* 정윤선 '길위의 진실' 퍼포먼스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cq14eSafPn4
Intro.

01부산역 - 부산역전 대화재 사건 / Busan Station - Big fire at Busan Station

track01

1952년 대화재 전 중앙동
1953년 역전 대화재 후 동광동과 중앙동 일대_매혜란 사진

1953년 11 27일 오후 8 20분경. 시속 11.8km 의 강풍을 원망해야할까? 부산역을 포함한 중구 일대는 화염에 휩싸였다. 공터만 있으면 만들어졌던 피란민들의 천막과 판잣집. ‘났다하면 불이란 유행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화재가 빈번해서 불산이라 불렸던 부산. 태우고, 태우고, 또 태우며, 14시간의 화마는 부산역과 그 일대 모두를 전소 시켰다. 스마트 폰 속 1950 년대 부산을 보라. 1952년 역전 대화재 전(이미지 01)  1953년 대화재 이후(이미지 02), 이 두 개의 사진은 화마가 중구 일대를 어떻게 휩쓸고 지나갔는지 그 참혹한 광경을 보여준다. 그리고 창밖을 보라. 여러분들이 보는 이 도시 풍경은 부산역전 대화재로 모든 것이 전소 된 도시를 재건하여 얻은, 부산 도시 계획의 산물이다. 우리는 이렇게 변했다. 1910년대에는 일본에 의해, 1950년대에는 전쟁에 의해 이 도시는 구획되기를 반복했다. 한국전쟁 당시, 1951 1월부터 11월까지, 11개월 사이 발생한 화재건수만 270, 1953 1월 한달간 발생한 화재건수는 무려 247건으로 화재로 인해 전소된 건물과 그 피해액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하루도 무사히 지나갈 날 없이 각종 재난 사고가 빈번했던 피란수도 부산.

November 27, 1953, around 8:20 pm. Who should we blame for a strong wind blowing at 11.8km per hour? Jung-gu, including Busan Station, was surrounded by flames. The tents and shacks of the refugees were erected in the empty spaces. Busan, which was called 'Bulsan' due to the frequent fires. Burn, Burn, Burn again, The 14 hour fire burned Busan Station and the entire area. Look at Busan in 1950s on your smart phone. Before the big fire in 1952 (Image 01) and after the fire in 1953 (Image 02), These two photos show the horrible sight of how the fire swept through the Jung-gu area. And look out the window. This cityscape you see is the result of rebuilding the city that was burnt by the Big Fire at Busan Station. It is the product of Busan City Planning. This is how we have changed. This city has repeatedly been compartmentalized by Japan in the 1910s and by the war in the 1950s. During the Korean War, from January to November of 1951, the number of fires that occurred during those 11 months was 270, and the number of fires that occurred in January of 1953 was 247. The number of buildings burned down by the fire and the damages were enormous. Busan, the evacuation city, had frequent disasters, but has none today.

02중앙동 - 40 계단 / Jungang-dong - 40-step

track02
1953년 역전대화재 전 40계단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
1953년 역전대화재 후 40계단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
역전대화재 이후 40계단

한국전쟁 당시 약 100만명의 피란민이 모여든 피란수도 부산. 용두산과 마주보는 복병산 동쪽 자락의 40계단, 층수가 40개라 붙여진 이름. 이 계단이 자리한 곳은 원래 해안으로 돌출된 쌍산이라 불리는 두 산자락이 있던 곳이었다. 일제 강점기부터 지형 변화를 거듭 겪은 부산. 1909년부터 4년간 이 쌍산 자락은 깎여 뒷쪽 고개와 해안을 연결하는 일종의 통행로인 계단이 놓여졌고 그 앞 바다는 메어져 넓은 평지가 형성되었다. ‘새마당이라 불렸던 이 넓은 평지.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부산으로 떠밀려온 피란민들은 이 일대를 중심으로 판자집을 지었다. 스마트 폰 속  사진을 보라.1953년 역전 대화재 전, 40계단 위에서 내려다 본 도시 전경 (이미지 3)은 같은 해  화마로 모든 것이 전소 된 후 (이미지 4) 와 비교해 보면, - 참혹하기만 하다. 40 계단 (이미지 5)은 항구와 시내로 가기 위해 하루에도 수십번씩 오르내려야 했던 가파르고 고단한 삶의 길이자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구호물자를 거래하던 암달러 시장으로 명성을 날렸던 전쟁이 만들어낸 치열한 삶의 현장이었다. 피란살이의 고달픔. 전쟁통에 헤어진 사랑하는 가족들. 고향에 두고 온 보고 싶은 가족들. 40 계단에 걸터앉아 멀리 바다를 바라보며 잠시나마 달래보는 피란민들의 애환과 염원.

 

Busan, the evacuation city, where about one million refugees gathered during the Korean War. 40-step at the east end of Bokbyeongsan facing Yongdusan, its name came from 40 stairs.The place where this stair is located was the place where two mountain edges called Ssangsan that protruded to the shore were located. Busan has undergone repeated terrain changes since Japanese colonial rule. For four years, starting in 1909, the Ssangsan edges were cut and a staircase, a kind of street connecting the back of the hill to the shore, was laid, and the sea in front of it was filled in to form a large flat land. This flat land was called 'New yard'. After the Korean War broke out, the refugees evacuated to Busan built shacks around this area. Look at the photos on your smart phone. Compare the picture of before the Big Fire in 1953, a panoramic view of the city from the top of 40-step (image 3) with the picture of after the Big Fire in the same year (image 4),

Sigh - (sighs) It's terrible. The 40-step (image 5) was a steep and tortuous way of life, which required dozens of climbs for a day to get to the harbor and downtown. It was a scene of intense life created by the war that earned its reputation as a black market that traded relief supplies from US troops. The pain of the refugee's life. Loving families separated by war. Missing families who left behind hometown. Trying to sooth the sorrows and aspirations of refugees sitting on the 40-step looking at the distant sea for a while.

03 피란촌,  이북마을 영도 (봉래동에서 대평동 까지)

Refugee camp, North village - Yeongdo (from Bongnae-dong to Daepyeong-dong)

track03

1952년 봉래동 해안
1952년 대평동 대화재_SC-396260

한국전쟁 시기 국민의 1/3이 피란민이 되어 몰려든 도시 부산. 그리고 영도. 일제강점기, 부산의 위성도시처럼 대규모 산업시설들을 이식해 놓은 곳. 그리고 그 공터마다 들어선 판자촌. 특히, 이곳은 1951 1.4 후퇴 이후 이북지역에서 온 피란민들의 거처였다. 일명, ‘이북마을로 불리던 봉래동과 대평동 일대. 스마트 폰 속 봉래동 해안가 (이미지 6)로 즐비하게 늘어선 판잣집이 보이는가? 상자같은 작은집이란 뜻의 하꼬방’. 한지붕 아래 여러개의 방은 벽 하나로 이집 저집 구분이 되고, 부엌없이 집앞 골목에서 밥해먹던 시절. 그러나 그것마저 유지되지 못했다.1952년 대평동 대화재 (이미지 7)는 이 일대 피란민들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Busan, a city where one-third of the Korean people gathered as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And Yeongdo. It was a place where large-scale industrial facilities were located, like a satellite city of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shanty town was located in the empty space. In particular, it was the residence of refugees from the North after the Third Battle of Seoul in 1951. Bongnae-dong and Daepyeong-dong was so called 'North village'. Do you see the shacks lined up by Bonglae-dong beach (image 6) on your smart phone? ‘Hakobang’ means a small house like a box. Several rooms under one roof were separated by just a wall for different families, They ate in the alley without a kitchen. But it was not even maintained. In 1952, Daepyeong-dong big fire (Image 7) caused a great deal of damage to refugees in this area.

04영도 다리 / Yeongdo Bridge

track04
1952~3년경 영도대교 위 사람들
1953년 영도대교 점바치
1934년 영도대교

“살아있다면, 영도 다리에서 만나자!” 가족 상봉을 기대하며 북새통을 이뤘던  장소 (이미지 8) 가족을 찾는다는 피란민들의 전단지로 뒤덮인 다리 난간. 다리 밑 점치는 여인들. 간절함과 불안함에 파고든 점술은 미신일지언정 희망을 품게했으니, 영도다리 주위는 점집이 퍼져나가 점바치 골목을 이뤘다 (이미지 9). 1932년 착공하여 1934년에 준공된 우리 나라  최초의 현대식 연육교이자 다리 일부분을 들어올리는 도개식 교량인 영도 다리 (이미지 10). 일제 강점기 대륙 침략을 위한 수탈과 착취의 장소이자 한국전쟁의 아픔이 담긴 애환의 장소. 도시 이미지는 우리의 뼈아픈 역사 속에서 이렇게 중첩된다.

 

“If we are alive, let's meet at Yeongdo Bridge!” A place of commotion for people looking for family reunions (image 8) The bridge railing covered with the leaflets of refugees who were looking for family. Female fortune-tellers under the bridge.The fortune-telling that permeated due to desperation and anxiety gave them hope, even if it was superstition, creating a 'fortune-telling street' around Yeongdo Bridge (image 9). Yeongdo Bridge (image 10), the first modern suspension bridge constructed in 1932 and completed in 1934, is a bascule bridge with a piece that lifts. It was a place of exploitation for invasion of the contin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a place of sorrow that contains the pain of the Korean War. The image of the city overlaps our bitter history.

05 대청동 한국은행 / Daecheong-dong - Bank of Korea

track05
1920년대 대청로 한국은행 앞
1952년경 광복로에서 대청동

북항 부두에서 일직선으로 이어진 큰길. 일제강점기 근대 식민자본의 흔적과 수탈의 역사를 증명하는 두개의 은행, 동양척식주식회사와 조선은행을 중심으로 기획된 도시 중심부 대청동. 이번 비엔날레 전시 공간 중 하나인 구) 한국은행, 이곳이 조선은행 부산본부였다. - 뻗은 이 도로를 보라. 그리고 스마트 폰 속 1920년대 (이미지 11) 1950 년대 초 (이미지 12) 촬영 된 같은 길을 보라. 상상이 되는가? 이 은행과 함께 각종 금융기관과 한국 최초의 공설 시장이었던 부평동 시장이 들어서며 이곳은 부산 중심 시가지가 된다.

 

A large road leading straight from Bukhang Pier. Daecheong-dong, a city centered on two banks, the Oriental Development Company and the Bank of Joseon, which demonstrate the traces of modern colonial capital and the history of exploit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is the Bank of Joseon Busan headquarters, one of the exhibition spaces of the Biennale, the former Bank of Korea Busan headquarters. Look at this outstretched road. And look at the same road in a picture taken during the 1920s (image 11) and the early 1950s (image 12) on your smart phone. Can you imagine? With this bank, various financial institutions and Bupyeong-dong market, which was the first public market in Korea, emerged, making this place the center of Busan.

06 부평동 깡통시장과  국제시장 / Bupyeong-dong Kkangtong Market and Gukje Market

track06
1951년 국제시장의 사람들
1952년 부평시장 양은 그릇점
1953년 1월 국제시장 대화재

창밖 왼편을 보라. 사이사이 골목마다 재래 시장이다. 1910년 일본인 거주자들의 편의를 위해 설립된 일한 공동시장인 부평동 시장. 주로 5일장이 익숙한 한국인들에게 연중무휴의 신식시장은 그야말로 화제의 대상이었다. 하루 드나드는 사람수만 약 2만명에 이르렀던 조선 최대의 공설 시장.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군수물품 중 특히, 레이션 깡통이 유달리 유통되어 부평 깡통 시장으로  현재까지 불리는 곳. 인근 공터에서 시작된 국제시장과 그 경계가 허물어지며 이 일대는 부산에서 최대 규모의 만물 시장이 된다 (이미지 13) (이미지 14). 해방이후부터 사람들이 하나 둘씩 모여들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귀환한 동포들이 생계를 위해 내놓은 생필품부터 일본인들이 두고 간 가재 도구들. 이후 한국전쟁이 발발하며 경상도를 제외한 온 나라가 전쟁통인 이때 이 공터에서 내놓은 생필품들은 날개 돋힌듯 팔렸다. 바다를 통해 들어온 물건, 피란 오며 들고 온 물건, 때론 유엔군 군수물자까지 나오는 등 미군부대에서 나오는 밀수품 주요 공급처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 국제시장도 대화재를 피하지 못했다 (이미지 15).

 

Look out the window on the left. There is a traditional market in the alley. Bupyeong-dong market, a Japanese and Korean joint market established in 1910 for the convenience of Japanese residents. For the Koreans who were only familiar with 5-day markets, a new market open year round was really a big hit. It was the largest public market in Joseon with about 20,000 people visiting. Among the military goods from the US military units, rations were the most frequently circulated, so it is still called Bupyeong Can market. The Gukje Market, which started from a nearby open space, became widespread and this area became the largest market, selling everything in Busan (image 13) (image 14). Since liberation, people began to gather one by one. The daily necessities from those who returned to Korea from Japan to be sold for living and household items left behind by Japanese.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and the entire country, except Gyeongsang-do, was at war, the necessities of this place sold well. There were goods from other countries, refugee's goods, and it wa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t was the main source of contraband from US troops including war supplies from UN troops. However, this Gukje Market also couldn't escape the fire (image 15).

07 보수동 (보수동 책방골목) Bosu-dong (Bosu-dong Book Alley)
track07
1952년 보수천면 피란민 움막
1952년 보수동 삼덕약업사 앞길

이곳은 보수동. 보수천에서 유래된 이름. 현재는 복개되어 그 흔적을 찾기 어렵지만 이곳엔  보수천이 흘렀다. 한국전쟁 당시 이 보수천변을 따라 피란민들의 천막과 수상 가옥이 대거 밀집했다 (이미지 16). 그 당시 보수산 꼭대기까지 빼곡히 들어선 판자집은 피란도시 부산을 떠올리는 상징적 이미지이다. 그리고 여기 독특한 골목이 있다. 골목 전체가 책방으로 형성되어있는 전국 최대 규모의 헌책방 골목 (이미지 17). 국제시장과 부평시장 건너편에 위치한 이 골목에서 1951 1.4 후퇴로 부산 피난길에 오른 부부가 미군부대에서 흘러나온 헌잡지나 헌책, 만화책 등을 내다 팔며 시작됐다는 노점상. 여기에 하나 둘씩 합세한 피만민들로 하나의 터가 형성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졌다. 또한 피란시절, 많은 노천학교들이 보수동을 비롯한 부산 곳곳에 들어서며 학생들의 발걸음으로 북새통을 이룬 곳. 책구하기 어렵던 시절, 먹고 살기도 힘든 시절, 헌책을 사고 팔며 학구열을 불태우고 생계를 연명하던 곳이 바로 이곳이었다.

 

The name of Bosu-dong is derived from Bosu stream. Now it's covered, so it is difficult to find the trail, but Bosu stream used to flow here. During the Korean War, along with the Bosu stream, refugees' tents and water houses were crowded (image 16). At that time, the shacks that covered to the top of Bosusan were symbolic images of the evacuation city, Busan. And there was a unique alley. The nation's largest used bookstore alley, covered with bookstores (image 17). This street vendors started in the alley opposite from Gukje Market and Bupyung Market in 1951 by a couple who were evacuated to Busan due to the Third Battle of Seoul who were selling the own magazines, books, and comics from the US troops. The place was formed when refugees joined together one by one and it has continued to this day. Also, during the evacuation period, many open-air schools were emerging in Busan, including Bosu-dong, so the area was crowded with students. When it was difficult to obtain books, and when it was hard to even eat, it was the place where people bought and sold books, being passionate about study, and maintained a living.

08 부산 형무소 - 부산 형무소 사건_국민보도연맹사건 / Busan Prison - Busan Prison prisoner massacre_ Bodo League massacre

track08
부산 형무소가 표기 된 지도 (중앙) 1956년
1971년 대신동
South Korean political Prisoners in Pusan, during the Korean War. By Bert Hardy_Imafe from AVAX NEWS

우리는 지금 대신동으로 가고 있다. 일제 강점기 당시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구속되어 징역을 살았던 곳, 부산 형무소. 대신동엔 대표적인 탄압 기구였던 부산 형무소가 있었다 (이미지 18)(이미지 19). 이 비극적 기운이 이어진 것일까?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7월부터 9월사이, 부산 형무소에 수감되어 있던 재소자들이 집단 학살된다. 3차례에 걸쳐 부산 형무소 재소자들을 포함한 보도연맹원, 예비검속자 등 최소 1500여명이 부산지구 CIC(방첩단)와 헌병대, 지역경찰, 형무관들에 의해 집단 살해 당했다 (이미지 20). 희생자들은 다른 형무소로 이감시킨다는 명목으로 끌려가 바다와 산골짜기 등지에서 집단 사살 후  수장, 매장 된 후 현재까지 명확한 진실규명이나 유해 발굴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왜 이런일이 일어난 것일까? 민간인 수천명을 군경이 일방적이고 임의적으로 집단 학살한 것은 사상 유례없는 비인도적 행위이다. 인민군 비점령지역, 비전투 지역으로 낙동강 전선이 형성되고 치안이 유지된 부산에서 이미 신병이 확보, 격리되어 위험하다고 볼 수 없는 재소자들이 정당한 법적 절차도 없이 살해 된 것은 명백한 범죄행위이다. 국민보도연맹은 어떠한가. 그것은 ‘좌익전향자 단체’ 를 표방했으나 군.검.경에 의해 좌익인사전향자들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반공 이데올로기를 고취시켜 좌익 세력 붕괴를 목적으로 조직된 관변 단체였다. 그러나 법률적으로는 임의 단체였다. 초창기 전향자 대부분이었던 보도연맹 가입자는 좌익과 관련없는 국민들도, 말단 행정기관의 할당량에 의해, 심지어 본인도 모르게 강제로 가입된 경우도 있었다. 9월 말 어느날, 트럭 몇 대에 사람들을 포박해 실어 놓은 상태에서 중단 지시가 떨어졌다. 국제적십자 단원들의 강력한 경고와 영국, 미국 등 해외 언론의 거센 비난에 의해 중단된 부산 형무소 재소자 학살. 학살의 가해자와 그 책임문제에 있어서 이승만 대통령의 직접 지시 여부 및 사건의 구체적인 윤곽은 여전히 드러나지 않고 은폐되어 있다. 상상할 수 있는가. 현재의 이 삼익 아파트가 그 비극적 사건의 장소였다.

We are on the way to Daesin-dong. Busan Prison. Busan Prison, where many fighters for independence were imprisoned to serv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usan Prison in Daesin-dong was a major oppression facility (image 18)(image 19). Did this tragic aura lead to this? Between July and September 1950,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inmates who were imprisoned in Busan Prison were massacred. At least 1,500 people, including the Busan Prison inmates, the Bodo League members, and prisoners in custody, were killed in three waves by the Busan District CIC (Counterintelligence Corps), the military police, the local police and the prison officers (image 20). The victims were taken and informed they were to be transferred to other prisons. Then they were massacred in the sea and mountain valleys and buried in the water or ground. Until now, there has been no definite clarifying investigation or body excavation work. Why did this happen? It is an inhumane act, unprecedented in any way, that the military massacred thousands of civilians unilaterally and arbitrarily. In Busan, where the Nakdong River defense line had been formed in the non-occupied territories and non-combat areas, it was a clear criminal act that the isolated inmates, whose identities were found and who were no harm to the public, were murdered without proper legal procedures. What about the Bodo League?  They claimed to be ‘the communist convert group’. It was an official organization organized by military, prosecutors, and police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control of communist converts and for the destruction of communist forces by promoting anti-communist ideology. However, it was a voluntary association by law. The Bodo League members were mostly early convertors, and some people who were not related to the communists were forced to join that group due to the quota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or there were even those who were not aware that they were signed up. One day at the end of September, there was a halt order for a few trucks with people tied up in them. The Busan Prison prisoner massacre was stopped by strong warnings from international Red Cross members and strong criticism from foreign media such as the UK and USA. Whether President Rhee Syngman directly ordered this or not and the specific outline of this is still obscured and hidden in terms of the true perpetrator and responsibility for this massacre. Can you even imagine? The current Samick apartment was the place of the tragedy.

 09  임시수도 부산 / Temporary capital Busan

track09

1926년 경남도청
1926년 경남 도지사 관사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 8 18~10 27, 1.4 후퇴로 1951 1 4일 부터1953 727일까지 대한민국의 임시 수도였던 부산. 창밖 오른편을 보시라. 이 거대한 붉은 벽돌 건물이 임시수도정부청사였다. 경남도청으로 사용했었던 서구식 변형된 르네상스 양식의 이 건물 (이미지 21)과 경남 도지사 관저 (이미지 22)는 이승만 정권이 한국전쟁 당시 전쟁을 지휘했던 곳이다. 이 임시수도 시절 부산에서는 굵직굵직한 사건들이 많이 발생했다. 직선제 개헌을 통해서라도 2대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을 바랬던 이승만 정권의 폭력으로 일어난 부산정치파동’, 이 시절 이승만 정권에 의해 기능이 마비된 상태로 개회한 국회에서 군.경의 무력에 의해 통과된 개헌안, 일명 발췌 개헌안은 우리나라 헌정사상 처음으로 개정된 헌법안이라고는 하나 반민주주의적, 반의회주의적 개헌안이었다. ‘국민방위군 사건은 어떠한가. 그것은 간부들의 국고금과 군물자 부정 착복 사건이었다. 국민방위군으로 소집된, 식량 및 피복 등 보급품을 지급받지 못한 만 17세 이상 40세 미만의 청장년층들이 이동과 훈련 중에 아사, 동사한 사건으로 그 수만 약 5만명에 이르는 참혹한 사건이었다. 또한 당시 거창에서는 주민 약 600여명을 집단학살한 거창양민학살사건이 발생했다. 일명 빨치산 토벌을 위해 창설된 국군 제 11사단의 9연대가 적과 내통한 혐의를 명분으로 무고한 민간인 특히, 젖먹이를 포함한 아이들, 부녀자와 노약자들이 대량 학살된 비극적 사건이었다. 한국전쟁 당시 이와 같은 사건들은 곳곳에서 비슷하게 대한민국 자국에 의해 자행되었다.

Busan was the temporary capital of Korea from January 4 to July 27, 1953 due to the Third Battle of Seoul between August 18 and October 27, 1950 during the Korean war. Look out the right side of the window. This huge red brick building was a temporary capital government building. This western-style modified Renaissance building (image 21), which was used as Gyeongnam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and Gyeongnam governor's residence (image 22), were where the Rhee Syngman regime led the war during the Korean War. During this time as a temporary capital, there were many incidents in Busan. The ‘Political Turmoils in Busan’ were caused by the violence of the Rhee Syngman regime, who wished to be re-elected in the second presidential election even through the rectification of the direct election system.  During this time, in the National Assembly was opened by the Rhee Syngman regime with its function paralyzed, a constitutional amendment passed by the armed forces. This so-called selected amendment bill to the Constitution’ was an anti-democratic, anti-Congressional constitutional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which was revis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s constitutional history. What about the National Defense Corps incident’? It was the corruption of the executives for embezzlement of national funds for military material corruption. It was a horrid incident that included about 50,000 people, aged between 17 and 40 years old, who were recruited for the National Defense Corps, were unable to receive supplies such as food and clothing, and died during transportation and training. At the time, there was a Geochang massacre’ which killed about 600 residents in Geochang. It was a tragic massacre conducted by the 9th regiment of the 11th Division of the Army, founded for the purpose of so called suppression of the North Korean partisan groups, in which they killed innocent civilians, including infants, children, women, and elderly people because they were supposedly connected to the enemy. During the Korean War, these incidents occurred everywhere in a similar form committed by the Republic of Korea.

10아미동 비석마을 / Ami-dong - Tombstone village

track10

1909년경 아미동에서 바라본 부산항과 일본인 납골묘
1952년~3년경 아미동 비석마을 전경

전쟁은 모든 것을 잃게 했고 폐허를 만들었다. 한국전쟁 시기 뒤늦게 부산으로 내려온 피란민들은 갈곳이 없었다. 그들이 생존을 위해 밀려 밀려 정착한 곳은 아미산이었다. 폰 속을 들여다보자. 원래 이곳은 일본인 공동묘지였다 (이미지 23). 멀리 부산항이 바라보이는 1909년경 아미동의 일본인 납골묘가 보이는가? 1952~3년 경 사진 속  산기슭을 보면 이 묘지 위로 하나 둘씩 집이 들어서고 있다 (이미지 24). 납골묘의 석물들을 치우고 그 위에 움막을 지으며 비석들을 주춧돌 삼아 한칸씩 한칸씩 마련한 피란민들의 보금자리, 비석마을. 이 곳은 피란시절의 부산을  보여주는  상징적 역사 그 자체이다. 많은 난민들의 유입으로 인간이 거주하기 불가능해 보이는 산비탈까지 낮은 지붕의 집들이 다닥다닥 붙어 계단식 마을을 이룬, 우리는 이를 산동네라 부른다. 평지가 좁은 부산으로 갑자기 유입된 대규모 외지인들에 의해 형성된 부산의 도시 공간. 그 독특함은 이 산동네를 잇는 산복도로에 의해 위와 아래, 도시공간을 수직으로 구획함으로써 형성되었다

The war destroyed everything and created ruins. The refugees who came to Busan late in the Korean War had no place to go. The place where they settled for survival was Amisan.

Let's look inside your phone. Originally this place was a Japanese cemetery. (image 23) Do you see Japanese charnel tomb in Ami-dong around 1909 where Busan Port is seen in the distance? In the photos of 1952~3, there are one or two houses at the foot of a mountain. (image 24) Tombstone village, home of refugees, has a charnel tomb set aside, a hut on it, and a tombstone as a cornerstone. This is symbolic history that shows Busan during the evacuation period. With the inflow of many refugees, even the mountain slope was covered in houses without space, creating stair-like villages. We call this ‘mountain village’. Busan's urban space was formed by large-scale outsiders who suddenly flowed into Busan to a small flat area. Its uniqueness was formed by the mountain road that connects this mountain village vertically dividing the city space up and down. 

11괴정 새마을 / Goejeong Saemaul

track11

괴정 새마을 위치_1956년 지도
괴정 새마을 위치_현재

우리는 지금 중구에서 서구를 거쳐 사하구로 진입했다. 비석마을이 있는 아미동 산복도로를 타고, 까치 고개를 넘어, 대티 고개까지 훌쩍 넘겼다. 여기는 괴정동. 사하지역에서 가장 인구밀도가 높은 곳이다. 이곳은 조선시대에 이르러서야 사람이 살기 시작한 본래 국마를 기르는 목장이 중심지였다.

1956년 지도를 보더라도 표기된 괴정리엔 주위가 온통 논과 밭이다 (이미지 25)(이미지 26). 그러나 한국전쟁은 이 지역의 지형을 확 바꿔놓았다. 거의 논, 밭이었던, 사람이 그다지 살지 않던 이곳은 부산시의 강제에 의해 피란민들의 이주가 이루어진, 피란민들에 의해 조성된 마을이었다.  1953년 말 약 100만이 넘는 피란민을 수용해야했던 당시 부산은 계속되는 인구유입으로 인한 판자촌을 감당하기 힘들었다. 부산역전 대화재를 기점으로 대대적인 철거 계획을 세우며 약 2 3000채를 이주시킬 계획에 착수한다. 피란민 대부분의 생활이 도심 중심인 국제시장 근처였기에 피란민들은 저항했다. 그러나 그들은 뽀족한 수가 없었다어떻게든 삶을 연명해야했다. 이렇게 탄생한 마을이 괴정의 새마을이다.

 

We have now entered Saha-gu from Jung-gu through Seo-gu. We took the Ami-dong mountain road where Tombstone village and Gamcheon village are located, crossing Kkachi Pass and Daeti Pass. This is Goejeong Dong. It is the most densely populated area in Saha. This was the center of the ranch where the horses were raised when people started to live in here in the Joseon Dynasty. If you look at the map of 1956, the land around Goejeong-ri is only rice fields and farmland (image 25)(image 26). However, the Korean War changed the terrain of this area. This place, which was almost all rice fields and farmland, a place where people did not live much, became a place for refugees forced from Busan. The village was created by refugees. At the end of 1953, when Busan had to accommodate more than one million refugees, Busan was unable to afford shanty towns due to continued population inflow. Starting with the Big Fire at Busan Station, they enacted a massive demolition plan and started to move about 23,000 houses. The refugees resisted because most of their living area was near the city center of Gukje Market. But they had no plan. They had to get by no matter what. The village born was Saemaul in Goejeong.

 

 

12 동매산 - 부산 형무소_보도연맹 사건 / Dongmaesan - Busan Prison prisoner massacre_ Bodo League massacre

track12
South Korean political prisoners in Pusan, during the Korean War. By Bert Hardy_Image from The Guardian
동매산 위치_1956년 지도
동매산 위치_현재

목격자는 말했다. “반장이 도장 찍으라고 해서 찍었을 뿐인데 왜 내가 죽어야 하느냐피살되기 직전, 한 민간인은 죽음을 앞두고 거세게 항변했다. 그들은 왜 죽어야 했나? (이미지 27) 1950 6 25. 북한은 이틀만에 서울을 점령했고 7 3일 한강을 넘었다. 수세에 몰린 대한민국 정부는 남한 내 좌익세력이 인민군에 협조할까 두려웠다. 그리고 그 두려움은  대규모 학살로 이어졌다. 우리는 지금 동매산 주위를 돌고 있다 (이미지 28)(이미지 29). 좌익세력으로 낙인 찍혀 부산 형무소에 수감중이던 재소자들 중 일부가 이 동매산에 매장됐다. 그것은 명백히 적법한 절차 없이 불법적으로 자행 된 학살이었다. 2001 4  암매장지 3곳 중 한 곳에서의 유해 발굴을 통해 일부를 수습한 이래로 아직까지, 여전히 이 사건의 진실은 규명을 기다리고 있다.

 

The witness said. “My boss said to sign this. Why should I be killed” Just before the killing, a civilian strongly objected to his death. Why did they have to die? (image 27) June 25, 1950. North Korea occupied Seoul in two days and crossed the Han River on July 3. In a defensive corner,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afraid that the communist forces in South Korea would cooperate with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And that fear led to massacre. We are now turning around Dongmaesan (image 28) (image 29). Some of the prisoners in Busan Prison, who were stigmatized as communist forces, were buried in Dongmaesan. It was an unlawfully executed massacre without any legitimate procedure. Since the discovery of some of the remains in one of the three secret burial sites in April 2001, we are still waiting for clarification of this case.

 

 

13하단역Hadan Station
track13

우리는 부산역에서 출발했다. 한국전쟁으로 인한 질곡의 역사 속에서  부산역전 대화재 사건으로 첫발을 내딛었다. 피란시기 하루도 그냥 넘어가는 날 없이 매일 매일이 재난과 사건 사고던 그 시절, 빈번하게 발생한 화재 특히, 부산역전 대화재는 부산이라는 도시를 다시 구획하고 정비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도시계획은 피란민들을  이동시켰다. 천변, 산비탈 또는 논과 밭 뿐인 목장지에 새로운 마을이 생겨났다. 가릴것 없이 온갖 재료로 집을 지었다. 일본인이 두고 간 묘지의 비석조차 쓸만한 재료로 둔갑했다. 지금 이 버스 창밖의 도시는 우리가 몸담고 있는 현재이다. 이 현재는 과거로부터 켜켜이 쌓여 이어진 역사 그 자체이다. 그러나 한국전쟁은 결코 일어나지 말아야 했던 비극이었다. 죽은자도 살아남은자도 아물지 않는 상처. 전쟁의 그늘은 우리 사회 곳곳에 존재한다. 부산, 도시 중심에서 미래를 묻는다.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할까? 도시 주체로써 우리는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계획해야할까? 여러분들은 곧 목적지에 도착한다. ! 이제 미래는 여러분들에게 달려있다.

 

We started from Busan Station. In the ordeal filled history of the Korean War, we started from the Big Fire at Busan Station. In the days when disaster and the incidents occurred every day, frequent fires, especially the Big Fire of Busan Station, was a reason to re-divide and rebuild the city of Busan. Urban planning moved refugees. New villages emerged on the riverside, mountain slopes, or pasture grounds with only rice fields and farmland. Houses were built with all kinds of materials. Even the tombstones in the cemetery left by the Japanese turned into useful material. The city outside this bus window is the present city we live in. This is the history itself that has been accumulated from the past. However, the Korean War was a tragedy that should never have happened. A never healing scar for those who have survived or died. The shadow of war exists everywhere in our society. We ask about the future in the center of Busan. How should we live? As an urban entity, how should we plan our future? You will soon arrive at your destination. Well! Now the future is up to you.
full v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