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오뜨 꾸뛰르 / 불

조회 14,064

관리자 2013-03-25 09:25

작가이네스 도우약
본전시


오뜨 꾸뛰르 / 불

도우약의 설치 작품에서 핵심은 거래이다. 레이저-나염 패턴이 그려져 있고 작가가 디자인한 텍스트가 들어가 있는 천을 (일정한 가격에 자선단체에 기부될 것인데), 어떤 방문객이라도 사서 집에 가져갈 수 있고, 원한다면 천을 잘라 셔츠 같은 옷으로 만들 수도 있다. 그 자체로 보면 이런 거래는 여느 천 가게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별반 다르지 않다 (그렇다고 미술관이 이런 쓸모 있는 일을 이번 한 번만이라도 하는 게 안될 것도 없다). 차이가 있다면, 그것은 우리가 역시 작가가 제공하는 작은 가방에 넣어 집으로 가져갈 수 있는 것이 단순히 패턴이 아니라, 의미라는 것이다.
의미가 물질적인 일관성을 가진 적은 거의 없다. 이는 적어도 사람들이 의미에 대해 관습적으로 생각해온 방식이 아니다. 반면에 어느 정도 섬유 패턴은 많은 문화권에서 아주 특정한 의미와 정보를 품고 있다. 이런 정보와 의미 대부분은 섬유에 프린트되어 쉽게 읽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행위나 실행에서 유래하여 사실상 천으로 흘러 들어간 것이다. 예를 들어, 레이스는 여러 해 동안, 심지어는 수 세기 동안 행해진 여성의 노동과 레이스 제작에 수행된 여성의 몰입을 생각하게 만든다.
도우약의 패턴은 아시아의 경제 기적 초기의 산업을 연상시킨다. 작가는 젊은 농촌 여성들의 운명을 다시 호명한다. 이들은 1960년대 한국의 실질적 경제 성장의 토대를 쌓았던 섬유 노동자들(‘산업 투사들’)이다. 이 작품에는 한국과 세계 곳곳에서 이렇게 젊은 여성들을 희생시켰던 사건이 과거에 이들을 죽였고 현재도 이들을 죽이고 있는 공장의 화재로, 가장 극적이고 가장 비극적으로 재현된다. 도우약의 설치 작품은 또한 착취의 지속적인 사이클에 초점을 맞추었다. 오늘날 멋지게 차려 입은 한국의 젊은 여성들은 아마도 인도네시아, 온두라스, 혹은 필리핀에서—한국인이 운영하는 공장은 아니겠지만—값싸게 만들어진 옷을 입고 있을 것이다. 그 옷들은 그녀들의 할머니가 한 때 그랬던 것과 마찬가지로 노예와 같은 여건에서 노동하는 여성들이 만든 것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