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법 앞에서

조회 13,227

관리자 2013-03-25 09:10

작가프란츠 카퍼
본전시


법 앞에서

카퍼가 “배움의 정원”을 위해 만든 작품의 주제는 북한 왕조이다. 약간은 추상화된 형태와 의도적으로 단순한 수단을 사용하는데, 작가는 김일성 일가의 통치를 합법화하고 찬미하는, 특정 도상학을 포함한 기념비의 주요 요소들을 재창조한다. 카퍼의 보관소는 다음과 같은 요소로 구성된다.
1) 김일성 꽃이 놓인 주체탑의 문. 기념비는 자급자족과 의도적 고립이라는 북한의 독특한 이데올로기에 바쳐졌다. 탑은 25,550개의 화강암 블록으로 구성된다(블록 하나가 김일성의 생애 하루하루를 나타낸다).
2) 한국전쟁(한국의 분단된 지도를 보라) 참전용사를 위한 메달과 통일기념비의 문. 문짝의 모서리는 북한의 국화인 목련으로 장식 되어있다.
3) 단군의 무덤으로 알려진 곳에서 나온 호랑이. 4,000년 전의 이 신비스러운 인물 단군은 한국의 최초의 왕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조선시대에 단군은 한국민족의 기원을 상징했고, 20세기에 들어서 그는 한국에 대한 식민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일본 정부의 방침에 맞서기 위해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주창되었다. 단군 유적은 김일성의 지시에 따라 1993년에 발견되었다.
4) 묘향산에 있는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을 위한 국제친선전시관의 기념문(3.6m × 6.3m). 이 전시관은 일제 전자제품으로부터 1982년 니카라과의 산디니스타가 보낸 컵과 탁자를 받치고 있는 박제된 악어에 이르기까지 각국의 정치가, 외교관, 주체사상 열광자들로부터 받은 19,000여 점의 선물을 보관하는 경이로운 물건 보관소다.
카퍼의 형식언어는 자수성가한 인물과 왕조-기계의 과도한 추진력을 강조한다. 예를 들면 지도자와 국가를 비유하는 다양한 종류의 꽃(목련, 김정일리아, 김일성지아) 등의 상징은 사실상 무에서 창조되어, 전체 권력 혹은 존재하지 않는 권력을 나타내는 기호로 표상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