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아카이브 – 103개의 사물

조회 13,455

관리자 2013-03-25 09:14

작가구톰 구톰스가드
본전시


아카이브

“배움의 정원”을 위해 노르웨이 출신 작가 구톰 구톰스가드는 카메라 옵스큐라로 시작되는 방의 연속을 제시한다. 이에 연결된 방에서는 그의 대표작 <아카이브>를 포함하여 다른 작품들과 공예품, 그리고 책이 전시된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완전히 깜깜한 방이다. 이 안에서 나오는 광선은 아주 작은 구멍을 통해 바깥 세계의 이미지를 스크린에 거꾸로 투사한다. 이 이미지는 세계가 사실로서의 본질이 아닌 껍데기라는 점을 드러낸다. 따라서 그는 이미 항상 존재하고 있는 세계에 태어났다는 우리의 존재 경험을 부인한다. 그 다음 방에 들어가면 여전히 어둠에 휩싸여있다. 두 개의 사물, 즉 큰 나무와 자갈로 채워진 이동식 트랙터 바퀴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벽에는 작가의 몇몇 작품들이 걸려 있다. 움직이는 돌과 여러가지 모양의 파도를 새긴 판화 작품들이 보이고, 바닷물에 닳아진 나뭇조각을 그린 드로잉들도 보인다. 카메라 옵스큐라로부터 우리의 눈이 자유로워지고 나면, 이 사물들은 우리의 촉각과 청각을 일깨운다. 세 번째 방에는 느슨하게 연결된 약 100개의 오브제와 이미지, 인쇄물, 책이 전시되고 있다. 모두가 구톰스가드가 수집한 방대한 컬렉션이다 (이 컬렉션을 가지고 그는 지난 10여 년 동안 60회 이상의 전시를 기획한 바 있다).
“배움의 정원”을 위해 작가는 한국의 나무꾼들이 사용한 연장, 19세기 말 일본 호쿠사이의 우끼요, 노르웨이 산악도로의 모습이 담긴 그림엽서 시리즈, 인형의 눈, 재규어 자동차의 로고 피규어, 사진작가 윗지의 작품집을 선별했다. 이 독특한 컬렉션을 아우르는 분류법은 따로 없다. 그 대신 작가는 관객에게 ‘열린 마음’을 필요로 하는 일종의 감각적 협업을 제안한다. 관객, 즉 우리의 연상작용과 연상을 통한 컬렉션들간의 연결은 제공된 사물의 형상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그 연결은 (우리가 희미하게 기억하는 것들 혹은 비슷해 보이는 사물들에 대한) 의식적 , 무의식적 기억의 기이하고도 아주 개인적인 혼합이며, 지식 (재규어를 운전하는 사람은 로고를 쉽게 기억하지만 나무꾼의 연장은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의 조각들에 기반한다. 마지막으로, <아카이브>는 여러 페이지를 펼친 채 길게 배열되어 있다. 작가가 제작한 이 책은 작가 컬렉션의 운명이라 칭할 만하다. 그 속에서 모든 항목들은 적절한 자리를 부여받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