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5,023
관리자 2022-12-16 11:53
1978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출생
대만 타이베이 거주
어우 슈이는 비디오 설치와, 연극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식민지 역사, 지정학적 이해관계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이미지 메이킹’의 이면을 파헤친다. 그는 식민과 냉전 시기의 실존 인물 혹은 대상(국가, 회사, 동식물 등)의 이미지와 그에 대한 기억이 이데올로기 아래 왜곡되어 수용되고 선전된 양상에 주목하고 사실과 허구를 오가는 상상력으로 재구성하여 보여 준다. 이처럼 남중국해, 인도양, 태평양 지역의 이해관계와 변화하는 경계, 힘의 구조를 날카롭지만 유머러스한 시선으로 반영하는 그의 작업은 《Still Alive》(큐브 프로젝트 스페이스, 타이베이, 2019), 《Gurindam Jiwa》(포토아우라 인스티튜트 오브 포토그래피, 타이난, 2017) 등의 개인전과, 타임즈 뮤지엄(광저우, 2021-2022), 제11회 타이베이 비엔날레(2018), 모리 미술관(도쿄, 2017), HKW(베를린, 2017) 등에서 상영, 전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