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프란시스코 카마초 에레라, 법 인

조회 3,526

관리자 2022-12-16 13:10

작가프란시스코 카마초 에레라, 법 인
〈낙원으로의 여정, 오래된 미래-I〉, 2022, 광목, 한지, 석채, 금, 240×180cm.
〈낙원으로의 여정〉, 2022, 단채널 4K 비디오, 49분 17초.
〈고무 산업 자료 아카이브〉, 1890 –, 사진 자료, 가변크기. 부산경남울산열사정신계승사업회 및 아프리카 왕립박물관 제공.
 
참여적 예술 실천에 관심을 갖고 있는 프란시스코 카마초 에레라는 현실에 적용 가능한, 공동체에 영향을 끼칠  있는 결과를 창출하는 방법론을 모색한다. 남미와 아시아처럼 서로 다른 지역 간의 역사적, 문화적 연결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온 그는 특히 대항해시대 이후 서구 열강이 주도한 식민의 역사가 현재 저개발국들에 대한 경제적 착취로 이어지는 현상을 면밀히 들여다본다. 이번 비엔날레를 위한 신작의 키워드는 ‘고무. 그는 남미 아마존과 아프리카의 대규모 고무 플랜테이션과  기술이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이전한 사실을 연결하고, 이를 다시 부산의 고무 산업과 연결한다. 고무는 근대 이후 타이어부터 신발에 이르기까지 많은 산업의 주요 재료로 사용되어 왔고, 한국 또한 고무 관련 제품의 생산 기지였다. 특히 1960년대 원료 수입에 유리한 입지, 저임금 노동력, 수출 주도 경제 정책과 맞물려 부산의 고무 산업은 국내 생산의 90퍼센트 이상을 점유할 정도로 특화되었다. 고무 산업이 해당 지역의 자연과 문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해  작가의 아카이브에는 1930년대 평양의 고무 노동자들의 시위와 1980년대 부산의 고무 노동자 투쟁에 대한 자료도 포함되어 있다. 이렇듯 고무 원료가 착취된 초기부터 근현대 산업에 이르기까지 여러 지역에서 파생된 수많은 이야기를 엮은 영상과 자료, 그리고 그림이 ‘절단 모티브로  이번 신작을 구성하며 특별히   스님과의 협업으로 제작하였다. 불화 낙원으로의 여정, 오래된 미래-I 남미와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한국을 관통하는 고무 산업과 노동, 환경 파괴의 역사를 역행하여 되돌아가는 바다  배의 서사적 여정을 탱화 기법을 참조하여 그린 것이다.
 
프란시스코 카마초 에레라

1979 콜롬비아 보고타 출생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거주

프란시스코 카마초 에레라는 사회 행동과 참여적 예술을 결합해 여러 공동체에 영향을  뿐만 아니라 현실에 적용할  있는 결과를 창출하는 것을 작업 목표로 삼는다. 최근 그는 식민지 역사가 공시적, 통시적으로 교차하는 지점에 주목하며 남미와 아시아의 식민지 역사  문화의 연관 관계를 다양한 층위의 리서치를 통해 작업으로 선보이고 있다. 주요 단체전으로 Participation Mystique》( 현대미술관, 상하이, 2020), 5 우랄 산업비엔날레(예카테린부르크, 2019), 21 시드니 비엔날레(2018), 현실비경》(토탈미술관, 서울, 2018) 등이 있다.

 

 

1962 한국 공주 출생
한국 수원 거주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 근처에서 태어나 자연과 함께 성장한 작가는  자연 속에서 소재를 찾았다. 미술 대학에서 도예를 전공하면서  땅의 열매와 뿌리, 그리고 다양한 흙을 주재료로 사용하였고 1990 불교에 출가  불화에 입문하면서 주재료로 서산 황토, 강진 백토, 산천 흙토, 오리나무 열매, 치자, 겨울  등을 사용하여 불화(탱화) 작업을 해오고 있다. 1987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에 입상하였고, 2019 대한민국 불교 미술 대전 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국가 무형문화재  118 불화장 이수자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