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6,252
관리자 2013-03-25 10:15
지금은
지몬 박스무트에게 예술적으로 흥미를 주는 것은 과거에 사라진 역사적 시기들이다. 신석기 시대가 바로 그런 시기이다. 신석기 시대가 우리가 세상을 살아가는 새로운 방식을 형성한 시기였다는 사실을 제외하면, 우리는 신석기 시대에 대해 자세히 모르고 있고 앞으로도 결코 모를 것 같다. 이 때는 사람들이 농경을 시작하고 사회 계급제도를 만들어낸 시기였다.
“배움의 정원”을 위해 작가는 고창, 화순, 강화에 있는 한국의 유명한 고인돌 유적지로 여행을 다녀왔다. 엄청난 크기의 돌은 매장의 장소를 표시한다. 고인돌의 배치 형태는 한 때는 적절하고 심지어는 필요하다고 여겨졌던 것들이 무엇인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그 뿐만 아니라 인력과 기술의 측면에서 어떤 일이 행해질 수 있었는지도 반영한다. 작가는 미디어 설치작업을 통해, 흑백 비디오에 이런 장소들에 대한 지형학적인 설명을 담았다. 이 비디오 외에, 두 개의 다큐멘터리 비디오 시퀀스가 상영된다. 여기에서는 신석기 시대 한국인의 삶의 방식을 진짜처럼 관찰할 수 있는, 선사박물관 전시장에서나 볼 수 있을 법한 모습과 고인돌 유적을 단체로 돌볼 뿐만 아니라 노래를 부르고 춤까지 추고 있는 한 무리의 노인들이 등장한다. 3개의 소형 스크린은 세 개의 큰 프로젝션에 대한 대위법으로서 기능한다. 스크린은 즐겁게 고인돌 모형들을 배치하고 다시 조정하는 작가의 손을 보여준다.
박스무트의 설치작품은 침묵의 기념물이 소리 높여 역사를 이야기하는 하나의 상황을 창조한다. 예술가는 마술사가 아니며, 고인돌 이야기는 결코 전부 다 밝혀지지도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전시장의 (대체로 허구인) 신석기인과 고인돌 유적지의 (아주 사실적인) 한국 노인들을 형식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작가는 고인돌이 단순히 과거의 유물이라는 인식을 극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