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8,402
관리자 2018-08-20 19:58
<악수 - 기억의 비계(飛階)>, 디지털 프린트, 107 x 5744 cm, 2013 – 2018
<악수 - 형체를 얻은 거리감>, 도자기, 23 x 17 x 15 cm, 2013 - 2018, 모두 작가 제공
칼리드 바라케
악수 - 기억의 비계(飛階)
악수 - 형체를 얻은 거리감
이번 비엔날레에서 바라케가 선보이는 작품은 북아일랜드 출신의 조각가 모리스 해론이 제작한 공공 기념물 〈화해/분열 너머로의 악수〉(1991)에 관해 언급한다. 영국령에 속한 아일랜드인 북아일랜드의 도시 데리(혹은 런던데리)에 세워진 해론의 이 작품은 두 남성이 서로에게 손을 뻗고 있지만 손끝이 닿을 듯한 거리에서 이내 멈추어 버린 모습을 포착한 청동 조각상이다. 두 손 사이의 공허한 간극은 늘 반목해 온 두 정치 집단, 즉, 가톨릭교도의 아일랜드 독립 민족주의자들과 개신교도의 친영국주의자들이 서로 타협하려 했지만 끝끝내 그러지 못했던 현실을 상기시킨다. 바라케의 작품 〈악수-형체를 얻은 거리감〉(2018)은 청동상의 손 사이의 간극, 즉, 이 두 대상 사이를 메우고 있는 여백을 주조한 하얀색 조각 작품으로, 좌대 위를 부유하듯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불편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여러 장의 대형 사진 출력물인 〈악수 - 기억의 비계(飛階)〉는 작가가 프로젝트 진행 중 해론의 청동상을 스캔한 3D 이미지들을 담고 있으며, 마치 이 청동상 원형에서 파생된 굽이치고 뒤틀린 메아리처럼 전시장 바닥에 수직으로 놓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