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0,115
관리자 2018-08-20 19:58
<식물 아래에는 해변이>, 혼합재료, 가변설치, 2017, 작가, 피터 킬히만 갤러리(취리히) 제공
마야 바예비치
식물 아래에는 해변이
부산현대미술관에 전시되는 〈식물 아래에는 해변이〉(2017)는 멀리 외딴 섬에 건설된 임시적인 유토피아를 연상시킨다. 작품의 제목은 1968년 프랑스에서 벌어진 학생 운동의 슬로건 “보도 블록 밑에는 해변이”를 유희적으로 번안한 것인데, 당시 이 슬로건은 길거리 싸움과 쾌락주의를 도발적인 뉘앙스로 연결지어 또 다른 유토피아를 꿈꾸게 했다. 풀로 덮인 작은 흙더미 위에 철골 구조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구조물 위에는 철, 합성 수지, 도자기 재질의 장치로 고정된 전구 32개가 모스 부호를 깜빡이는 작품이다. 이 메시지가 점차 전개되는 과정을 보면, 정치적 메시지가 문맥에서 벗어나며 (또한 냉전 시대에는 수많은 사람이 모스 부호를 해독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거의 보기 드문 자질이 되어가며) 점점 모호해지는 현상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반영하고 있다. 중심 작품 주변에는 분절적인 음악이 공기 중을 흐르고, 한 모니터에는 1950년대 미국의 정치 및 대중문화 영상 몽타주가 상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