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8 NO.22즐거운 인생

조회 19,337

관리자 2009-08-27 15:59

작가첸 원링
<행복한 삶 Happy Life>, <영웅적인 투쟁 Valiant Struggle>으로부터 <중국적 풍경 China Scene>까지
- 첸 원링의 조각 언어의 추이를 정리하다.
첸 원링은 상상력이 풍부하고 창조적인 예술가이다. 그는 항상 인간과 동물을 작품과의 관계 속에 위치시키는데, 이 관계는 열광하는 사람과 비만한 동물 사이의 모호함과 신경증에 의해 완성된다. 첸 원링은 이를 통해서 축제, 캠페인, 권력과 욕구 등을 첨예하게 표현한다. 그의 작품은 세속적인 즐거움, 유머, 그리고 기쁨 등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끝없는 육체적 욕망을 재현하고, 욕망과 돈, 육체와 권력의 상호관계를 풍자한다.
<행복한 삶>, <영웅적인 투쟁> 연작은 포동포동하게 살이 찐 사람들과 야생동물들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다. 인간형상을 하고 있는 비대한 미치광이 돼지, 사나운 개, 주인과 함께 등장하는 섹시한 인어는 작품의 가능성을 형성한다. 그러나 문제의 핵심은 단지 이러한 관계가 아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첸 원링이 작품을 통해 이들 동물들을 인간욕망의 대상물로 다루고 있는 동시에 ‘욕망이란 무엇인가’나 ‘어떻게 욕망이 생기는가’와 같은 수사적인 질문을 던진다는 것이다. 분명 작가는 이 질문들에 대해, 과장된 조각 언어를 사용하여 인간의 욕망이 단지 소유와 교환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쾌락적 이익에 불과한 것이라고 답한다. 첸 원링의 작업은 정의로운 사회의식을 주장하는 민중들의 시각에서부터 출발한다. 그는 비이성적 욕망, 허영, 권력, 폭력 등을 냉소적인 유머로 조롱하고 비판한다. 첸 원링은 창조적인 방식으로 사실주의를 채택했을 뿐 아니라 간결함, 소박함, 천진함 그리고 과장의 방식으로 환상적이고 풍자적이며 익살스러운 블랙 코미디를 이용하여 민속적, 대중적 그리고 역사적 이미지를 혼합했다.
- 황두, 「<행복한 삶>, <영웅적인 투쟁>으로부터 <중국적 풍경>까지-
첸원링의 조각 언어의 추이를 정리하다」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