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 조수

조회 16,765

관리자 2016-08-22 16:40

작가조로 파이글
특별전
조로 파이글, <조수>, 로프, 모터, 철, 30x600x1800cm, 2014

조로 파이글, <굴렁쇠>, 굴렁쇠, 모터, 철, 240x240x1000cm, 2015

조로 파이글, <양귀비>, 방수포, 모터, 철, 750x950cm, 2012

조로 파이글
양귀비

조로 파이글의 작업은 움직임과 그로 인해 만들어지는 다양한 흔적들로 이루어진다. 그의 작업은로프에 전달되는 운동 에너지와 반복되는 패턴이 빚어낸 강력하고 우아한 설치다. 바다의 기복이 작품을 형성하는 작품<조수 Untangling the tides>(2014)에서 바다는 해변을 만들고 해변은 다시 바다를 만든다. 두 개의 굵은 로프가 공간에 펼쳐져 마치 파도가 물결을 해변으로 밀듯이 로프는 움직임을 멈추지 않는다. 밀려 들어오고 나가는 조수를 모방하면서 로프는 서로 접촉하고 가로지르면서 또다시 풀린다. 검은 고리들이 강관을 따라 왔다 갔다 움직이는 <굴렁쇠 Hoop>(2015)는 아이들이 즐기는 일종의 게임처럼 한쪽 끝에서 다른 끝으로 돌고 회전한다. 때로는 서로 격하게 튕기면서 뒤틀리다가 갑자기 기품 있게 완벽한 조화를 이루면서 춤을 춘다.작은 고리는 큰 고리를 쉽게 통과하고 끊임없이 서로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부딪치며 율동적 안무를 만들어 낸다.거대한 방수천이 펼쳐지며 파도치고 펄럭이며 우아하게 춤추는 작품 <양귀비>(2012)는 연약하고 여린 양귀비꽃을 연상시킨다.하지만 이 최면적인 춤에는 아름다운 힘이 연관되어 있다.. 중력, 마찰, 원심력 간의 난폭한 전투가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