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 행성의 은둔자

조회 17,268

관리자 2016-08-22 16:31

작가지아아이리
특별전
지아아이리, <행성의 은둔자>, 유화 & 혼합매체, 450x800cm (450x266.7 cmx3개), 2016

지아아이리
행성의 은둔자

중국의 동북지역은 중국중공업의 핵심지역으로 중국의 근현대사에 있어 수많은 역사적 사건들이 발생한 곳이다. 중국의 동북과 북방 지역 전역은 일찍부터 중국 경제의 고속 성장을 가지고 온 곳이지만, 1980년대부터 90년대를 지나며 경제적 쇠퇴를 맞았다. 이로 인해 대다수의 중공업 공장들이 도산하거나 폐쇄하였고, 수 만 명의 공장노동자들은 이직하거나 퇴직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과거 계획경제하에서의 절대평등주의는 눈깜짝할 사이에 시장경제의 능력주의로 바뀌었고, 이 노동자들을 포함한 사회가 겪은 불행과 적막함은 시대의 상흔과 아픔이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면밀히 관찰해 온 지아아이리의 작품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폐허적’ 장면이라고 하겠다. 지아아이리는 ‘폐허’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매우 흐릿하게 기계와 인물들을 그려내는데, 이는 관객들로 하여금 혼란스러운 환경과 고독한 개인을 상기시킨다. 그의 회화에서 보이는 삶의 모습에는 모두 시대적인 무력감을 지니고 있으며 그의 거대한 화면 앞에서 인간은 여전히 미약한 존재로 남는다. 그의 작품은 우리에게 지난 날을 되돌아보게 하고 현실과 타협할 수 밖에 없는 서글픈 미래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지아아이리의 신작 <행성의 은둔자 Hermit from the Planet Ⅱ>(2016)는 우주 공간의 한없이 넓고 아늑한 화면으로 무대가 옮겨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업에서 일관적으로 보여지는 ‘폐허감’은 여전히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