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 풍선 강타 NO.1

조회 17,180

관리자 2016-08-22 16:30

작가진양핑
특별전
진양핑, <풍선 강타 NO.1>, 스크린에 페인팅, 혼합재료, 230x310cm, 2016
진양핑, <풍선 강타 NO.2>, 스크린에 페인팅, 혼합재료, 230x310cm, 2016
진양핑, <방관자들>, 스크린에 페인팅, 혼합재료, 230x310cm, 2016

진양핑
풍선 강타 NO.1

진양핑은 모더니스트와 사회주의가 남긴 유산에 대한 환멸과 염증을 즐기면서 공공연히 ‘B급 회화’를 생산해낸다. ‘B급 회화’는 현 시대 인간 존재의 근원적 취약성과 인류 영혼의 보편적인 약점들을 공격하기 위해 주류적 가치와 형식을 공개적으로 왜곡하고 전복시키는 경향을 말한다.
마치 해체주의가 스탈린주의적 사회주의의 억압성을 고발함과 동시에 신자유주의의 거대담론을 해체하듯, 그는 당대 중국미술계의 형식과 내용을 동시에 공격하고 있다. 진양핑은 독창성이나 진품성을 조롱하며, 작업의 완결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의 작업은 불연속적이며, 무작위적이고 파편화된 형식으로 나타난다. 진양핑의 작업들은 ‘반시대적 철학’이며 이것은 ‘B급 작가’가 그림을 그리는 방식이라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