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 욕망과 우주사이

조회 16,136

관리자 2016-08-22 16:29

작가김학제
특별전
김학제, <욕망과 우주사이>, 혼합재료, HD 비디오,사운드, 340x1000x500xcm, 1분 23초, 2016

김학제
욕망과 우주사이

김학제는 ‘세계의 다중지성은 진정으로 인류를 위한 공감을 획득해 나아가고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인류의 역사는 욕망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취약한 속성을 그 시대 시대마다 남긴다. 현대 다중지성으로 대표되는 최고 가치 형태는 급격히 발전된 테크놀로지와 그에 따른 우주로의 진출로 정의될 수 있다. 작가는 이러한 것들을 향한 세계지성의 결합과 경쟁의 이면에 숨어있는 욕망의 그늘을 함께 표현하고자 한다. 제작된 모조 인공위성은 바닥과 벽에 묘지처럼 설치되고 모조 인공위성의 날개에 부착된 사진들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얘기했듯이 탈코드화된 흐름을 전제로 하는 유일한 사회인 ‘자본주의 기계’의 화폐자본의 자유로운 흐름을 전제로 하는 ‘정신분열증적 현상’과 ‘욕망’의 코드를 도상으로 보여준다. 벽면에는 광활한 우주에 쓸쓸히 거니는 로봇과 인간의 모습을 영상으로 투사하여 전체적으로 묵시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그리고 우주인과의 교신을 내용으로 한 선구적인 팝음악 데이비드보위의 ‘space oddity’와 10CC의 ‘I’m not in love’이 교차 편집되어 흘러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