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 이자벨라

조회 16,203

관리자 2016-08-22 16:20

작가자비에르 루체시
특별전
자비에르 루체시, <이자벨라>, 의학용 스캐너를 이용한 람다프린트, 150x150cm, 2014

자비에르 루체시, <빈센트>, 의학용 스캐너를 이용한 람다프린트, 150x150cm, 2012

자비에르 루체시, <씨플레>, 의학용 스캐너를 이용한 람다프린트, 150x150cm, 2011

자비에르 루체시, <Unnamed>, 의학용 스캐너를 이용한 람다프린트, 150x150cm, 2011

자비에르 루체시, <Anonym>, 의학용 스캐너를 이용한 람다프린트, 150x150cm, 2009

자비에르 루체시
이자벨라

자비에르 루체시는 카메라 없이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을 시도한 작가이다. 루체시는 이를 위해 색다른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 다른 장비들을 가지고 작업을 시도 하였는데 엑스레이 기계와 스캐너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만들어내었다. 그의 이미지는 단순히 이미지를 제작하는 보편적인 방식이 아닌 사물을 통과하는 방식을 취한다. 어떤 물체 뒤에 있는 표면에 엑스레이 광선을 쏘면 그것은 실제의 그림자를 없애 버린다. 이는 우리가 볼 수 있는 ‘환영’인 것이다. 광선이 사물을 통과한다는 것이 단순히 이쪽에서 저쪽의 반대편으로 도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광선이 사물을 통과한다는 것은 사물의 실제를 드러낸다는 것이고, 이는 일종의 관찰자가 눈을 똑바로 응시하고 영혼을 꿰뚫어 보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루체시가 피카소의 회화과 같은 명작들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작업을 할 경우, 작품의 일면을 드러내려 하지 않고 시각적으로 극적인 장면을 표현한다. 또 그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보지 않은 것을 그려내는 뇌의 시뮬레이션 능력과 기술력과 사이에는 접점이 있는데 주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