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6 My father never touched me like that

조회 15,168

관리자 2016-08-22 14:58

작가조아나 라이코프스카
특별전
조아나 라이코프스카, <My father never touched me like that>, 영상 비디오, 10분52초, 2014

조아나 라이코프스카
My father never touched me like that

조아나 라이코프스카의 영상<My Father Never Touched Me Like That>의 중심에는 아버지와 딸 사이의 무너진 관계를 묘사했다. 작가는 아버지가 그녀의 얼굴을 만져줄 것을 청했는데 그것은 어쩌면 생에 처음이자 마지막 이였을지도 모른다. 그녀의 아버지는 제2차 세계대전 동안에 아우슈비츠로 수송되던 중 탈출을 시작으로 가족과 아내를 떠나는 순간까지 늘 도망치는 삶을 살았다. 그는 한번도 어린 자식의 기저귀를 갈아준다거나 초등학교 입학식에 참여하거나, 심지어 패혈증으로 그녀가 입원을 했을 때 조차도 곁에 없었다. 또한 그의 아내가 죽음으로 가는 길목에서조차 오롯이 부르던 그의 이름까지 외면했다. 작가는 작품을 통해 일상생활의 표면 아래에 있는 기억들의 층위를 겉으로 드러내면서 우리 모두가 지니고 있는 과거의 상처를 어루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