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2,645
관리자 2013-03-25 11:23
얼음
러시아어에는 "물고기처럼 얼음을 친다."라는 경구가 있다. 이 경구는 겨울의 혹한에 강과 호수가 얼어붙고 물고기들에게 필요한 물속의 산소가 줄어드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이 때 물고기는 수면 가까이 올라와 얼음 아래로부터 밖으로 나와 호흡을 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소용없다. 오늘날 이 경구는 어떠한 행위의 소용없음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는 어쩌면 당신의 감정, 당신의 친절함, 당신의 사랑이 그 누구에게도 필요 없을 때, 그리고 어떠한 노력을 하더라도 이러한 상황을 바꿀 수 없을 때 느껴지는 절망과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누구에게도 필요 없는 여성성을 상징하는 흰 드레스를 입은 여성이 벗어날 수 없는 절망 속에서 자신의 몸으로 얼음을 부수려고 노력한다. 그 노력의 결과로는 얼음의 겉면만 약간 부수었고 그 아래 물과 함께 또 다른 얼음 층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