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3,908
관리자 2013-03-25 11:11
장수탕
나는 지방도시가 천천히 변모해가는 것을 묵도해오면서 그 변화의 지표가 될 만한 것들을 기록하고 있다.
요번 부산 기장일대에서 촬영된 사진들은 최근 몇 년 동안 진행하고 있는 작업의 일부분이라고 보면 된다. 이 작업의 주요 모티브는 대도시의 거대화, 자본화는 본질적으로 지방중소도시의 쇠락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풍경은 풍선과 같아서 어느 한쪽을 누르면 다른 한쪽이 튀어나오기 마련이다.
작업 속 나의 태도는 이문구의 '관촌수필'에서 그려지고 있는 그런 유년시절의 농촌 공동체에 대한 기억과 그리움, 그리고 근대화, 도시화, 산업화가 야기한 것들에 대한 비판적 혹은 반성적 자세이다. 특히 지방의 여러 곳을 다니면서 사진으로 벗겨낸 무표정한 껍데기가 그 주변의 공기감 혹은 기운들을 담아내며 역설적으로 속도와 효율성의 슬로건을 건 발전의 신화가 우리에게 무엇을 가져다주었는지 이야기해 줄 수 있으리라 본다.
어쩌면 특별하지도 대단할 것도 없이 아무것도 아닌 것처럼 보이는 이 작업들이 살아온 과거에 대한 이야기인 동시에 현재의 삶의 표정일 뿐 아니라 앞으로 다가올 변화에 대한 해학으로 읽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