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3,752
관리자 2013-03-25 11:10
歸去來圖(귀거래도)
*사이공간
과거에 견줘 현저히 복잡해진 세계를 살아가는 도시의 현대인들은 세속을 탈피하고자 하는 소망에 젖는다. 그리하여 전통과 과거의 역사, 그리고 자연의 순수성을 회복하려는 욕구를 생활 문화 전반에 강하게 나타낸다. 현실 탈피의 방편으로 과거에 대한 막연한 향수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향수에 기대어 잃어버린 것, 현실에서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찾으려 한다. 하지만 이러한 의식을 통해 과거 자체를 회복하려는 것은 아니며, 질서가 회복된, 현재의 지향적 목표가 되는 이상적인 미래를 찾으려 한다.
*선택된 풍경- 부산이미지
과거와 현재의 개인적 경험을 반영하는 도시의 이미지는 주관적인 경험으로 인해 의미가 부여된 선택적인 공간이며, 산수의 이미지는 특정 순간 심리적으로 안정을 주거나 특별한 의미가 부여된 풍경의 조합이다.
*2009년 도보여행을 하며 부산에 머무른 적이 있다. 낯선 도시의 골목과 아파트 뒷산을 오르며 관광지가 아닌 일상의 모습으로 다가온 부산을 느낄 수 있었다. 도자에 그려지는 부산의 이미지는 누군가에게는 익숙한 장소임과 동시에 여행자의 낯선 시선이 공존하는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