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블루 언더 스매슁 에이프릴 노스텔지아

조회 14,152

관리자 2013-03-25 11:09

작가애나한
특별전

 
블루 언더 스매슁 에이프릴 노스텔지아
장소를 뜻하는 Place 와 공간 Space 는 작업에 주 아이디어이다. 같은 공간도 보는 사람마다 경험하는 사람마다 제각기 다르다. 작가로서 그 주어진 공간에서 받은 영감으로 공간과 장소를 재해석 하는 작품을 만들고, 관객은 평면과 입체가 공존하는 작업에서 그들만의 경험을 한다.
공간을 나누는 면, 공간을 이어주는 선을 시트지를 사용하거나 패턴 프린트, 실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미니멀한 조형적 요소는 추상적으로 반복-재현 된다. 특히 벽을 암시하는 평면적 4변형 도형들은 우리의 공간 인식을 왜곡 하고 정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작업에서는 공간을 나누고 있는 벽의 전 면을 사용함으로서 그 의미를 더 부각 시키고자 했다. 이번 부산에 선보이는 <블루 언더 스매슁 에이프릴 노스텔지아>(2012)는 부산의 지형적 특색을 살려, 그 지도를 패턴화 한 실사지를 사용한다.
실사지는 천과 함께 기존의 공간을 나누어 왜곡하고 벽이라는 개념을 강조함과 동시에, 관객과 인터렉티브 할 수 있는 설치로 구현된다. 반복된 패턴과 컬러, 라이트, 그리고 신체적 경험인식 (physicality)이 이번 작업의 주된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