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To Busan, In Busan, From Busan

조회 13,949

관리자 2013-03-25 11:08

작가박혜민
특별전

 
To Busan, In Busan, From Busan

작업 안에서 나와 관객은 소극적인 관찰자로 남기 보다는 직접 그 속으로 들어가 그 장소와 직접적인 관계 맺기를 통해 소통하고, 이 과정에서 서로 교감을 꾀한다.

런던 체류 당시 진행한 <To London, In London, From London>(2011)과 동일한 시리즈의 프로젝트 <To Busan, In Busan, From Busan>(2012)를 통해 부산의 이곳 저곳과 그 장소들이 담고 있는 개인의 역사성을 찾는다. 과거 부산이라는 같은 장소에 살았거나 머물렀지만 현재 각자 원래의 장소로 돌아간 사람들에게 부산에서 찍은 사진과 기억을 공모 받았다. 공모된 사진의 인물은 작가에 의해 투명 아크릴판에 그려지며, 작가는 그 투명 아크릴 보드를 들고 그 사진이 실제 찍힌 곳을 방문하여 다시 기념 촬영을 하였다.
이렇게 촬영한 사진들은 부산 기념 엽서로 제작되며, 현재 그 곳에 살고 있는 누군가의 기억이 엽서위에 더해져 주인에게 전송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단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그들은 같은 장소와 그에 따른 각자의 기억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이 프로젝트는, 부산을 거쳐 간 사람들이 보내온 사진에 대한 기억을 내가 재해석 하여 새로운 이미지로 탄생할 뿐만 아니라, 이 엽서 위에 또 다른 누군가의 기억이 덧붙여 보내지면서, 더 이상 과거의 머물러 있는 회고적 성격의 기억이 아니라, 또 다른 이야기가 되어 점차 변모해나가는 미래지향적인 기억으로 부유하게 된다.
더 나아가 <To Busan, In Busan,, From Busan>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부산 기억을 바탕으로 만든 가이드북 <TOP 5 Busan Guide Book>을 제작한다. 사람들의 개인적인 기억을 기반으로 만든 지극히 주관적이고 사적인 이 가이드북은 전시장에 방문한 관람객들의 부산 여행을 부추기듯 갤러리에 비치된다. ‘마음을 위로하는 곳’, ‘그녀와 함께 했던 곳’ 등 드로잉 속 인물이 그 장소에 대해 느끼는 주관적인 단상들, 그리고 개인의 역사가 소개된다. 이 가이드북은 개개인의 소소한 추억 공유를 넘어서서, 모든 기억의 겹들이 쌓이고 쌓여, 하나의 시각예술로 환원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