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5,828
관리자 2022-12-16 11:47
1979년 호주 머리 브리지 출생
호주 애들레이드 거주
워터스는 세대에서 세대로 전해지며 섬유공예의 전통을 잇는 자수품과 생활 속 물건들을 활용한 수공예 조각품을 통해 그가 ‘유령화된 계보’라고 일컫는 선대의 행적, 즉 식민지 시대 택지 조성이라는 미명하에 반복되어 온 파괴, 전통의 획일화와 같은 부인되고 은폐된 진실을 가시화한다. 섬세하고 정밀한 스티치 작업을 통해 정착과 토지 개간, 긴 세대 반복된 자원 오남용으로 식민화된 호주의 자연과 풍경에 대해 이야기하며, 최근에는 기후 변화의 영향 아래 직물 전통이 미래를 위해 제시할 수 있는 도움에 주목하고 있다. 《Specks》(휴고 미셸 갤러리, 애들레이드, 2021), 《Domestic Arts》(ACE 오픈, 애들레이드, 2017) 등의 개인전을 비롯해, 제16회 애들레이드 비엔날레(2022), 제1회 차오저우 국제자수예술비엔날레(2018) 등의 국제전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