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5,656
관리자 2022-12-16 11:43
1991년 호주 브리즈번 출생
브리즈번 거주
남아프리카 식민지에 위치한 사탕수수 농장으로 보내진 인도 노동자의 후손인 작가는 가족의 역사를 좇으며 새로운 아카이브를 시도한다. 회화, 영상시, 퍼포먼스를 넘나드는 심슨의 작업은 식민지 아카이브에 내재되어 있는 간극과 침묵에 대해 이야기하며 이주와 기억, 트라우마의 문제들을 다루고, 지속적인 저항과 치유를 가능케하는 의식을 만들어가고 있다. 개인전 《Kūlī nām dharāyā/ they’ve given you the name ‘coolie’》(IMB 벨타워, 브리즈번, 2020)을 비롯하여, 《Blue Assembly: Oceanic Thinking》(퀸즐랜드 대학교 미술관, 브리즈번, 2022), 《The National 2021: New Australian Art》(호주 현대미술관, 시드니, 2022)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