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5,821
관리자 2022-12-16 11:40
1994년 레바논 베이루트 출생
독일 베를린 거주
바셈 사드는 과거의 역사적 상흔을 준거로 현재의 변화에 주목하는 퍼포먼스, 영상, 에세이나 소설 형태의 작업을 선보인다. 작업 전반에 걸쳐 통치 체제의 내외부를 조작하는 전략들을 탐구하고 기록하는데, 가령 레바논의 반정부 시위와 ‘블랙 라이브스 매터’ 운동과 같은 저항의 흐름과 그에 대한 체제의 억압, 아랍 국가들의 ‘카팔라’ 제도하에 이주 노동자들을 향해 가해지는 폭력과 부당한 처우 등 세계의 주요한 정치사회적 쟁점들을 개개인의 목소리와 경험을 통해 전하는 데 주목하고 있다. 참여한 주요 단체전으로는 《la clinique du queer》(메종 포퓔레르, 몽트뢰유, 2020), 제16회 베니스 건축비엔날레(2018) 네덜란드관, 제14회 샤르자 비엔날레(2017)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