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2 무니라 알 솔

조회 5,947

관리자 2022-12-16 11:38

작가무니라 알 솔
〈게으르게 일몰에서 일몰까지〉, 2022, 자수를 새긴 파라솔 천막구조, Ø350cm.
『NOA 매거진 4호』, 2022, 잡지, 가변크기.
〈자유는 내가 익숙해지려 하는 습관(로진)〉, 2019,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1분 39초.
〈다윗과 골리앗의 어머니〉, 2019, 캔버스에 유채, 155×120.5cm. 작가 및 스페어 셈러 갤러리 제공.
〈다윗과 골리앗의 어머니〉, 2019, 캔버스에 유채, 160×120cm. 작가 및 스페어 셈러 갤러리 제공.
〈다윗과 골리앗의 어머니〉, 2019, 캔버스에 유채, 157×118cm. 작가 및 스페어 셈러 갤러리 제공.
〈다윗과 골리앗의 어머니〉, 2019, 캔버스에 유채, 164.4×120cm. 작가 및 스페어 셈러 갤러리 제공.
 
무니라  솔은 2008년부터 독립 잡지 NOA(Not Only Arabic)』 발간해 왔다. NOA 아랍 사회에서 여성들이 겪는 억압과 폭력에 맞서 변화를 이끄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정치적인 이유로 베이루트에서는 공개 배포가 어렵고, 도서관이나 호텔방 같은 특정한 혹은 비밀스러운 장소에서 사전 약속을 통해서만  잡지를 열람할  있었다. 이번 전시를 위해 부산 망미동의 책방 한탸에서 페미니스트들과의 워크숍을 통해 NOA 4호의 글을 공동 번역하였고, 전시장 가운데 설치된 텐트에서 잡지를 읽을  있다. 텐트에는 아랍어로 매시간을 나타내는 자수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레바논 내전 당시 어머니와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장치이다. 당시 작가는 잠옷에 구멍을 뚫고, 이를 다시 꿰매는 작업을 반복했는데, 이는 전쟁이 벌어지는 한밤중에 잠들기 위해 촛불 아래에서 하던 일종의 명상 행위였다. 한편 이번 전시에서는 고향인 시리아와 레바논에서 추방되어 각각 쥣펀, 워싱턴 DC, 오슬로, 샤르자에서 살고 있는  명의 여성들로진, 와드, 하닌, 자이나 24시간을 함께 보내며 기록한 영상 가운데 ‘로진 이야기가 텐트 안에서 함께 소개된다. 텐트 바깥에 걸린  점의 그림 다윗과 골리앗의 어머니 연작에는 여러 여성의 모습들이 형상화되어 있다. 개인의 꿈과 기억, 작가들의 허구적 이야기, 구금된 여성들이 겪는 고통, 일상에서 가부장제에 대항하는 사람들의 입장과 행동 등을 시각화한 작업이다.
 
무니라  

1978 레바논 베이루트 출생
베이루트,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거주

무니라  솔은 전쟁과 종교적 갈등, 사회정치적 격변으로 인해 강제로 고향을 떠나야 했던 중동의 역사 속에서 많은 이들의 발화되지 못한 기억과 트라우마를 회화와 자수, 텍스트, 사운드, 영상, 퍼포먼스 등으로 담아낸다. 그의 작업은 A Day is as long as a year》(발틱 현대미술센터, 게이츠헤드, 2022), Positions #5: Telling Untold Stories》( 아버 미술관, 에인트호번, 2019), I Strongly Believe In Our Right to be Frivolous》(아트 인스티튜트 오브 시카고, 시카고, 2018) 등의 개인전을 비롯해, 도큐멘타 14(카셀, 2017), 56 베니스 비엔날레(2015)  국제 무대에서 소개되었다. 2007 52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레바논 관을 대표한 작가   명이었다. 2008년부터는 작가, 지식인과 협업해 NOA』(Not Only Arabic) 매거진을 발간하며 아랍 사회  여성들이 겪는 여전한 억압과 폭력에 대항해 그들의 이야기를 모아 발화의 장을 만드는 방식으로 개개인의 미시사에 관여하며, 아랍 문화권의 혁명과 관련해 여성의 참여와 의견에 대한 리서치를 이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