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354
관리자 2022-12-15 15:04
부산의 산복도로는 산지가 많고 평지가 좁은 지형적 특성과 부산으로 유입된 외지인들에 의해 이루어진 난개발의 역사를 보여 주는 공간이다. 1876년 강화도 조약으로 부산항이 개항되자 일본인들은 대대적으로 중앙동 일대 바다를 메워 뭍으로 만들기 시작했고 이 땅들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일본인 구역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까닭으로 일제강점기에 일자리를 찾아 전국 방방곡곡에서 온 사람들은 살 곳이 마땅치 않았고, 경사진 산지를 따라 무허가 판자촌을 지어 정착하게 되었다. 이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전란을 피해 수많은 피란민이 봇짐을 싸 들고 임시수도인 부산으로 몰려들면서 부산의 인구는 급격하게 불어났다. 합법적으로 주거 공간을 마련하기 어려웠던 피란민들은 산비탈 판자촌으로 더욱 빽빽하게 모여들었다. 1964년, 산동네들을 꼬불꼬불하게 연결한 산복도로가 처음 개통되었다. 대중교통이 발달하며 산 위까지 다니는 노선버스가 생겨났고 산복도로는 지금도 동네 구석구석을 가로지르며 산 위와 산 아래를 연결해 주고 있다.
부산의 산복도로를 경험하고 싶다면 시내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마치 롤러코스터를 탄 것처럼 가파른 산세를 따라 급경사와 급커브를 몸소 체험할 수 있으며 지대가 높기 때문에 부산의 전망이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특히 86번 버스는 산복도로를 지나 국제시장, 남포동으로 이동하는 노선으로, 과거 부산 시민들의 흔적을 더듬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