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229
관리자 2020-09-04 11:01
결국엔 우리 모두 호수에 던져진 돌이 되리라
이 글은 박봉황의 일기다. 그는 유리의 권유로 자신을 찾기 위해 글을 쓰기 시작했다. 박봉황은 금해식당 사건을 조사하는 일종의 사설탐정이다. 건축가 백유진은 금해 식당에서 복국을 먹다가 독이 올라 사망했다. 식당의 요리사이자 살인 혐의로 고발당한 노 씨는 계속해서 누군가가 이 사건을 조작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담배 심부름을 하던 중국인 종업원이 그만 두어 담배를 사기 위해 가게를 잠시 비웠다. 그가 돌아왔을 때는 어떤 여자의 비명소리로 유진의 죽음을 알아차렸을 뿐이었다. 사건을 쫓는 동안 그는 어디서 본 듯한 느낌의 카메라를 든 남성과 마주친다. 박봉황은 노씨가 용의자라는 것을 확신했고 사건을 풀기 위한 실마리를 짜맞춰 갔다. 86세의 박봉황을 찾는다는 실종광고가 있다. 카메라를 든 남성을 본 이후 박봉황은 자신의 몇몇 기억이 사라졌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에 대해 써내려간다. 박봉황, 53세. 마지막으로 그는 금해식당에서 일하던 종업원을 찾아가서는 그녀가 매일 노 씨의 일과를 적어 수상한 사람에게 전해 주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박봉황은 카메라를 든 남자를 다시 한번 마주쳐,따라가기로 했다. 갑자기 누군가가 머리를 강타하고 그는 도로에 쓰러졌다. 그러 자 그 카메라를 든 남자가 서서히 다가왔고 거기에는 20대 시절의 박봉황이 있었다. 그가 의식을 잃은 동안 일막종합건설이라는 이름이 적힌 펜을 들고 있는 누군가가 종업원의 집에 침입해 경찰에 체포되었고 사건은 해결되었다. 요리사로 일했던 경험이 있는 범인은 일막종합건설에 고용되어 범죄를 저지른 것을 자백했다. 불행하게도 종업 원은 살아남지 못했다.
문필가 안드레스 솔라노(Andrés Felipe SOLANO)
1977년 콜롬비아에서 태어난 소설가이다. 『나를 구해줘, 조 루이스』(2007), 『쿠에르보 형제들』(2012), 『네온의 묘지』(2016)를 출간했다. 또한 한국에서 6개월 간 일한 경험을 바탕으로 쓴 에세이 『최저 임금으로 살아가기』, 한국에서의 삶을 그린 논픽션 『외줄 위에서 본 한국』은 2016년 콜롬비아 도서상을 수상하였고, 2018년 『한국에 삽니다』로 번역되었다. 또한 영국 문학 잡지인 ‘그란타’의 스페인어권 최고의 젊은 작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오디오북 바로가기